본문 바로가기

과학 토막상식 이야기193

텔로미어에 관한 간략한 설명 안녕하세요? 사실은 과학동아 2017년 5월호에 있던 [인간은 왜 늙는가?]라는 기사를 읽고서 재미있는 이론을 하나 소개하려고 했습니다만, 그전에 텔로미어에 대해서 설명을 하려니 너무 길어져서 따로 포스팅 하나를 할애해서 설명을 하고자 합니다. 가장 간단하게 설명을 하자면 아래의 그림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염색체의 가장 끝 가장자리 부분이며, 이 부분은 DNA가 복제가 될때, 그러니까 세포가 분열을 할 때 마다 염색체의 끝 부분이 마치 신발의 밑창처럼 딿아서 없어지는 것 처럼, 점점 시간이 지날수록 짧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렇게 짧아지는 이유는 아래의 그림과 같은 기작을 통해서 이루어 진다고 합니다. 먼저 DNA는 복제를 하기 위해서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고 있는 이중나선을 풀고, 5`에서 3`라.. 2017. 5. 22.
암 줄기세포라는 것이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Newton 2017년 5월호를 읽다보니, [줄기세포의 능력을 가진 '암 줄기세포']란느 기사에서 언급된 굉장히 짧막한 내용이지만, 매우 흥미로운 내용이 있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에서 그 내용을 싣을까 합니다. 일단 1990년대 후반 캐나다의 연구자들이 백혈병을 일으키는 세포인 '원흉세포'를 발견하였다고 합니다. 이 원흉세포를 동물에 이식하면, 비정상적인 세포가 늘어나면서 이식받은 동물에게 백혈병을 발병 시켰다고 합니다. 이렇게 암을 일으킬 수 있는 세포인 원흉세포를 암 줄기세포라고 부를 수도 있지만, 학계에서는 아직 수수께끼에 쌓인 존재인 탓에 [암 줄기세포(Cancer Stem Cell)]이라는 용어대신 '암 기시세포(Cancer-initiating cell)'이라는 용어가 사용이 된다고 .. 2017. 5. 13.
김치 유산균이 아토피를 치료한다고 하지만, 한계도 명확해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Newton 2017년 5월호에 싣려 있었던 기사인 [김치 유산균으로 아토피 피부염 치료한다]라는 기사를 읽고나서, 유용해 보이기는 하지만, 한계도 너무나 명확해 보이는 사실이 하나 있어서, 그 내용을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기사에서 얻은 정보는 너무가 간단하기는 해 보였습니다. [여수 돌산 갓 김치]에서 분리한 김치 유산균 WiKim28을 45일간 아토피 피부염이 있는 쥐에게 먹였더니, 아토피 피부염이 개선되는 효과를 보았다는 내용입니다. 이 내용만 얼핏 들으면 사람이 여수 돌산 갓 김치를 먹으면 아토피 피부염이 나아질 것으로 생각할 수 있지만, 단순히 밥 반찬으로 여수 돌산 갓 김치만 먹는다고 효과를 볼 수 없습니다. 우선 뉴턴에서 소개한 연구내용에서 쥐들은 [여수 돌산 갓 김치]를 먹은.. 2017. 5. 7.
워프 드라이브란 이런 것이라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한극 스켑틱 2017년 vol9에 싣려 있는 기사인 [초광속 비행은 가능한가?]라는 기사를 읽어보니, 우리가 SF 영화나 소설, 만화등에서 심심하면.... 정확히는 스페이스 오페라 라고 해야 할까요? 아무튼 우주를 배경으로 하면 항상 언급이 되는 워프 드라이브에 대해서 자세하게 설명이 되어 있어서, 그 내용을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우선 질량이 있는 물체는 빛의 속도를 넘을 수 없다는 것이 특수 상대성 이론의 명제라고 기사에서는 언급하고 있습니다. 더군다나 빛의 속도로 우주를 여행하는 것 마져도 너무 느리다고 언급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인류가 진짜로 우주를 여행하기 위해서는 빛의 속도보다 더 빠른 속도로 행성과 행성사이를 이동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합니다. 앞서서 특수 상대성 이론에서 .. 2017.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