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589 CiMon Scada를 이용한 스위치/램프의 실습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제서야 지난주의 수업내용을 다 포스팅을 하는 데 성공하는데, 아무튼 간에 일단 CiMon이라고 아마 듣는 분도 얼마 없으실 이 프로그램을 가지고서 한번 실습까지 해본 내용을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일단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도록 해 보겠습니다. 이번 수업에서 정말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스위치/램프 라는 것이 있는 그림 메뉴에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먼저 레이블 설정이라는 탭으로 가도록 합니다. 여기서는 스위치/램프에서 글귀를 띄울 수 있는데, 상태0이라고 하면 디지털 태그에서 0이라는 기본값이라고 해야 할까요? 아무튼 이런 상태가 될때 이 스위치에 띄우는 것입니다. 글자의 색상과 크기를 조정 하도록 합니다. 기존의 버튼이나 사각형 박스와는 다른 버튼 스위치라고 해.. 2017. 11. 8. 비동기식 카운터를 가지고서, 아두이노 보드와 PC의 연결 part2 안녕하세요? 어제 블로그에 다 올리려고 했지만, 어찌할 수 없어서 두 부분으로 나누어야 했는데 그 나머지 부분을 이번 포스팅에서 다 다루고자 합니다. 우선은 74LS93이라는 16진수 카운터 전용으로 만들어진 IC 칩에 대해서 설명에 들어가야 겠습니다. 위 그림은 74LS93 칩의 핀 번호 다리마다 기능을 적어 놓은 것입니다. CP라고 적혀 있는 곳에는 clock이라고 해서 펄스파가 들어와야 하고, MR은 clear를 담당하는데, 여기에 신호가 둘다 들어오면 이 칩이 초기화 됩니다. 여기서 제가 처음에는 몰랐는 것이 VCC와 GND인데, 일단 이걸 정확하게 모르고서 1차 결선 시도를 했습니다. 추가로 NC라는 것은 아무것도 없는 핀이라는 뜻으로, 전혀 기능이 없습니다. 첫 시도의 결과는 총체적인 난국이었.. 2017. 11. 7. 비동기식 카운터를 가지고서, 아두이노 보드와 PC의 연결 part1 안녕하세요? 가지가지 일이 있어서 포스팅을 제때에 올리지 못하고, 지난주에 했던 일을 이제서야 올리게 되었습니다. 아무튼 이번 수업시간에서는 그동안 아두이노 보드를 가지고서 독학을 할 때는 3개월간 했어도 전혀 진도가 나가지 않았던 것을 7시간 수업 안에 진도가 나간 것을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먼저 Proteus상에서 pulse를 주는 것을 만들기 시작합니다. 여기서 나오는 High voltage는 일단 5V로 설정을 하도록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전압이 너무 낮아서 아무런 변화도 안 보입니다. 위 스크린샷에 나오는 회로도는 비동기식 카운터가 되는 분주회로 중에서 4분주의 모습입니다. 여기서 비동기식이라는 말의 뜻은 간단하게 순차적으로 동작을 한다는 의미이며, 반대로 동기식 카운터라고 하면 모두 일시에.. 2017. 11. 6. CiMon을 이용해서 if문의 사용과, 도표의 사용, 그리고 반복문의 활용 DaumEditor Wygiwyg Panel안녕하세요? 계속해서 PLC 자동제어 수업을 하면서 CiMon이라는 Scada라고 해야 할까요? 일종의 산업 현장에서 쓰이는 기계를 제어하는 프로그램인데, 이것을 가지고 프로그램을 제어하는 수업이 이어지는 중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if문을 사용하는 법을 배웠고, CiMon에서 도표를 이용하는 법도 배웠는데, 그 내용을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언제나 그렇지만, 항상 새 프로젝트로 생성해서 작업을 시작하도록 합니다. 이번에는 반복구문을 만드는 법 부터 배우기 위한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일단 script1()이라고 이름을 바꾼 다음, 위 스크린샷과 같이 코딩을 하도록 합니다. 먼저 합계 라고 변수를 선언해 준 다음-다른 프로그래밍 언어와는 다르게 CiMonD에서.. 2017. 11. 5. 이전 1 ··· 788 789 790 791 792 793 794 ··· 8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