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89

Mux와 deMux, 그리고 그레이 코드 수업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조금은 복잡하다면 복잡한 내용인데, 일단 Mux라고해서 multiplex라는 선택기에 대한 내용부터 먼저 설명을 해야 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우선 4X1 Mux의 경우인데, 선택선에 들어오는 신호에 따라서, 입력되는 A,B,C,D에서 한개를 선택한 다음 출력을 한다고 합니다. 이 Mux가 어디에 쓰이는가 하면, 바로 USB허브나 인터넷 공유기 허브에서 사용이 된다고 합니다. 선택선이 신호를 굉장히 빠르게 변환하기 때문에, 우리는 잘 모르지만, 실제로는 이런 원리로 입력은 상당히 많은데, 출력은 하나만 한다고 합니다. 다음은 deMux라는 것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자 합니다. 입력이 된 것은 오로지 하나인데, 선택선에 따라서 출력이 여러개 된다고 합니다. 이 때문에 Mux와 d.. 2017. 11. 12.
처녀생식(parthenogenesis)라는 것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근에 과학동아 2017년 11월호를 읽다보니, 때아닌 '처녀생식(parthenogenesis)'가 논란이 되고 있는 현장이 있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여기 이 블로그에서도 바퀴벌레가 처녀생식을 한다는 것을 이야기 한 적이 있었습니다. 링크 : 바퀴벌레 박멸이 어려운 이유? 처녀생식, 혹은 단성생식이라고도 불리는 현상은 간단히 말을 하자면, 아버지쪽의 유전자 없이-정자의 도움이 없이, 외부의 자극에 의해서만 난자 혹은 알이 혼자서 분열하는 현상입니다. 아마 이 처녀생식이라는 단어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게는 위 내용이 무슨 소리인지 아리송 하실 건데요, 그래서 처녀 생식과 비교가 되는 일반적인 '정자'와 '난자'의 수정 과정과 비교를 해서 설명에 들어가 보도록 해 보겠습니다. 위 그림을 보시면,.. 2017. 11. 11.
CiMon Scada를 혼자서 반복문 만들고, 정답과 대조한 결과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이번주 화요일에 있었던 수업이라기에는.... 일단 과제를 직접 부딧쳐서 해결해 보고자 했는 것인데, 그 내용을 포스팅 하는 것에 가깝다고 해야 겠습니다. 일단 일일히 시행착오를 했는 내용을 다 포스팅 하기에는 너무 복잡하기에, 이번에는 중요하다 싶은 내용만 될 수 있으면 간추렸는데, 너무 간추린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일단 처음으로 하는 과제는 위 그림에서 나오는 것처럼 파란색의 피스톤을 최대한으로 빼었다가, 그 다음에 도로 되돌아 오는 작업을 자동으로 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일단 해결하기는 해결을 했는데, 먼저 move라는 스크립트를 짜서, 조건에 따라서 piston이라는 스크립트의 실행여부를 제어 하도록 합니다. 그리고 piston이라는 스크립트에서는 while문.. 2017. 11. 10.
CAD에서 3차 구조물 다루고, 3D 프린터에서 출력하기 위한 준비하기 안녕하세요? 드디어 지난주의 수업내용을 포스팅 다 하고서, 이제서야 이번주에 했던 내용을 올리기 시작했는데, 좀 많이 늦기는 늦었다는 생각이 들기는 듭니다. 아무튼 이렇든 간에 어찌되었던 이제는 포스팅을 올려야 하는데, 이번 수업에서 배운 내용은 3차원 물체를 이래저래 CAD상에서 다루고, CAD에서 설계한 3차원 물체를 3D 프린터로 출력하기 위해서 준비하는 과정을 올리고자 합니다. 3r이라는 단축키를 써서 3D rotate라는 명령식을 실행시켜 보고자 합니다. 3차원 물체를 하나를 선택한 다음 이 명령식을 실행시키면, X,Y,Z축으로 도형을 어느정도 각도로 회전시킬 것인지 선택할 수 있도록 됩니다. 다만 사용에 있어서는 아직 익숙하지 않아서 인지 몰라도, 이래저래 시행착오가 많기는 많았습니다. 다음은.. 2017. 1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