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85

동형 암호라는 것이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암호..... 이건 정보의 보안을 위해서 상당히 중요한 요소라고 할 수 있는데, 과학동아 2018년 5월호를 읽다 보니 '동형 암호'라는 것에 대해서 나와 있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지난번에는 'RSA암호'에 대해서 포스팅을 한 적이 있었는데, 그 때만 하더라도 '양자 컴퓨터'가 나오지 않는 이상, 소수를 이용해서 역으로 푸는 데만 어마어마한 시간이 걸리는 암호가 있었습니다. 링크 : 신용카드 번호가 소수를 이용해서 암호가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이게 왜 중요한 기술인지를 몰랐는데, 기사의 내용에 의하면 이게 무려, 암호화된 상태에서 '계산'을 해도, 암호화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결과와 '동일'한 계산 결과가 나오기 때문에, 정보 유출에 따른 걱정 없이 그대로 계산-암호를 푸는 과정을 .. 2018. 5. 6.
파스칼의 원리 안녕하세요? 저는 고등학교때 선택과목으로 물리를 선택하기는 했지만, 딱히 물리를 좋아 해서가 아니라, 문제집에 나와있는 내용이 그대로 시험에 반영이 잘되는 과목이어서 그러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그런 제게 이제와서 '파스칼의 원리'는 상당히 낯설게 느껴 졌는데, 마침 Newton 2018년 5월호에 이 파스칼의 원리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 있기에, 이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고자 합니다. 위 이미지의 풍선처럼, 밀폐된 기체의 압력크기는 모든점에서 같다는 것을 파스칼이 발견하였다고 합니다. 그래서 부풀어 오른 풍선을 손가락으로 살짝 누르면, 누른 곳의 압력만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풍선 내부에 골고루 압력의 상승이 전달되어서 풍선의 모든 점에서 같은 압력이 전달이 되는데, 이를 '파스칼의 원리'라고 합니다. 위 .. 2018. 5. 5.
유니티5 독학하기 그32번째 걸음-계속 이어지는 NGUI공부 안녕하세요? 2개의 포스팅에 걸쳐서 겨우 chapter1이 끝났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무튼 어떻게 해서든 간에 이걸 어느정도는 공부하고 나서 가야 하는데, 아직 시간이 조금은 더 걸릴 듯 합니다. 일단 Game뷰에서 화면의 비율을 다르게 하도록 해 보겠습니다. 여기서 inspector뷰에서 scailling style에서는 Fiexible로 바꾸도록 하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이제 화면의 비율이나 사이즈가 바뀌어도.... 오브젝트의 크기는 그대로 유지가 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해서 Fiexible이라는 것에 대해서 알아 볼 수 있었습니다. 이제 다른 Constrained에 대해서 한번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당장 바꾸었을 시점에서는 뭐가 특별히 다른지는 알 수 없었습니다만, 위에 화면.. 2018. 5. 4.
미세먼지 7문 7답 안녕하세요? 겨울철부터 봄..... 심하면 여름철까지 올지도 모르는 이 '미세먼지'에 대해서 궁금할 것이 많다면 상당히 많은데, 마침 과학동아 2018년 4월호에 이 미세먼지에 대한 7가지 질문에 답하는 형식의 기사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 7가지 문답을 따라가 보면서 이 기사에 대한 리뷰를 하고자 합니다. 첫 질문은 '미세먼지 예보'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먼저 기사는 어떻게 미세먼지를 측정하는 지에 대해서 묘사를 하고 있습니다. 마치 진공청소기와 같은 필터를 이용해서, 큰 먼지는 먼저 걸러내고, 작은 미세먼지의 2종류(PM10과 PM2.5)를 아주 미세한 필터에 '하루종일' 모은다고 합니다. 그리고 나서 여과지-필터를 β선이 통과하는 정도나, 일정한 온도와 습도가 유지되는 '초미세 저울'로 측정하기 때.. 2018. 5.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