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587 북한 비핵화-CVID를 위한 기술 안녕하세요? 이래저래 시끄럽고 말이 많은 북한의 비핵화인데, 미국에서는 이 비핵화를 '불가역적인 비핵화(CVID)'라고 하면서 이걸 북한이 받아들이고 진짜로 비핵화를 할지, 아니면 하는 시늉만 할지를 두고서 여기저기서 갑논을박이 벌어지는 것을 볼 수가 있습니다. 이러는 와중에 순수하게 기술적인 부분에만 촛점을 맞춘 기사가 있기에, 이 기사를 리뷰해 보고자 합니다. 먼저 들어가기에 앞서서, 과학동아의 기사에는 정치적인 견해를 이야기 하기 보다는 순수하게 어떻게 해서 북한이 핵을 만들었으며, 이를 어떻게 해체해야 하는 지에 대해서 다루고 있는 기사라는 점을 먼저 알려드리면서 시작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먼거 기사는 첫머리에서 '북한의 비핵화는 역대 가장 어려운 비핵화로 꼽힌다.'라는 문장으로 시작을 하면서 시.. 2018. 6. 9. 인공 광합성 이라는 것이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광합성이라고 하면 이건 식물이 물과 이산화탄소를 햇빛을 이용해서 포도당으로 전환하는 과정입니다. 그런데 과학동아 2018년 6월호 기사를 보니 이 식물의 전용 기능이라고 생각을 하였는 과합성이라는 것을 인공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이 소개가 되어 있어서, 이를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먼저 식물에서 일어나는 광합서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식물에는 '광계(photosystem)'이라는 단백질이 있는데, 이런 단백질이 II과 I라고 2개가 있다고 합니다. 왜 이런 위 그림에서 묘사된 것과 같은 과정을 거치느냐 하면, 이러한 광합성을 하기 위해서는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해해야 하는데, 이 과정은 막대한 에너지가 소모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식물 안에서는 이렇게 전자를 광계(photos.. 2018. 6. 8. 흥미로운 제목, 다소 유감스러운 내용의 뉴런 생성 기사 안녕하세요? 신경세포 특히 뇌 신경세포는 일단 한번 생성된 다음에는, 성인이 되고 나서는 생성이 안 된다고 하며, 단지 신경세포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교세포는 꾸준히 생성이 된다고 합니다. 이런 사실을 알려 주는 데는 과학동아의 기사가 유용하지만, 과학동아 2018년 6월호의 [나이들어도 뉴런은 계속 O생긴다. X안 생긴다. 불붙은 신경세포 생성 논란]이라는 기사는 흥미로운 제목에 비해 내용이 유감스러웠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관련된 이 기사의 리뷰를 하고자 합니다. 기사는 먼저 20여년 전인 1998에 나온 실험을 소개하면서 시작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는 너무 많은 전문용어라고 해야 할까요? 저와 같이 생명과학을 전공한 사람이 아니라고 하면, 여기서 이 기사를 읽기가 다소 어려워 지.. 2018. 6. 7. 나는 태어나자마자 속기 시작했다.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최근에 읽은 책인 '나는 태어나자마자 속기 시작했다'라는 책을 리뷰해 보고자 합니다. 이 책의 저자인 오찬호는 과거에 '우리는 차별에 찬성합니다'와 같은 책을 저술한 적이 있었고, 그 때도 책을 재미있게 읽었는데 이번에도 이상하게 책이 재미있다는 생각이 들었더니, 같은 저자인 것을 다 읽고 나서야 알았습니다. 일단 책은 한국이라는 사회가 어떻게 돌아가고 있는지에 대해서 설명하면서, 가장 먼저 비정상적으로 높은 교육열에 대해서 언급을 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어떤 이유라기 보다는 사회전체가 고졸자에 대해서 차별을 해대는 시스템을 구축해서 이런 결과로 이어졌다고 분석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저자는 순수하게 한 개인의 사고란 존재하지 않고, 사회의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을 언급하.. 2018. 6. 6. 이전 1 ··· 731 732 733 734 735 736 737 ··· 8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