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588 알고리즘 트레이딩 시스템 개발 을 읽고서 안녕하세요? 최근에 읽었는 한빛 미디어의 알고리즘 트레이딩 시스템 개발이라는 책을 읽었습니다. 좀 더 정확한 제목은 머신러닝을 이용한 알고리즘 트레이딩 시스템 개발 이라고 해야 하는데, 이 책의 이름이 생각외로 길다면 길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 책의 리뷰를 처음에는 과학서적의 리뷰로 해야 하나라고 망설였는데, 결국은 자연과학과는 조금 거리가 있다고 생각해서 기타 책 리뷰에 넣는 것으로 되었습니다. 우선 이 책의 특징이라면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어떻게 프로그램을 짜서 한다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어떻게 해야 하는 작업을 알려 주고 있다고 해야 할까요? 책의 상당 부분을 아예 통계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 있고, 실제로도 상당한 부분을 어떻게 해서 만들어진 프로그램에 대해서 평가를 해야 하는지에 대해서.. 2018. 9. 25. 유니티5 독학하기 그 91.5번째 걸음-계속 화면에 잡히는 물체를 위한 패럴렉스 스크롤 part5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번에 새로운 게임 오브젝트를 만들고자 하는 것이 그다지 유용하지 않은 선택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번 포스팅에서는 어떻게 해서 상황을 잡았는지 그 내용에 대해서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우선 새로운 함수...... 일단 CameraFollow.cs 스크립트에 이 카메라의 위치를 결정해 주는 함수에서 smoothTime이라는 파라미터에 일단 주목을 했습니다. 그래서 카메라가 목표지점을 따라잡는 시점이 늦어서 생기는 문제라고 생각해서 원래는 0.3으로 되어 있는 속도를 0.03으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그러자 부스터의 스피드가 상당히 빨라서 문제가 되는 상황임이 틀림없는 데도, 태양이 사라지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즉, 어쩌면 지금까지 문제가 바로 이 플레이어 캐.. 2018. 9. 24. 유니티5 독학하기 그 91.5번째 걸음-계속 화면에 잡히는 물체를 위한 패럴렉스 스크롤 part4 안녕하세요? 결국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처음으로 결국 돌아가는 과정을 보여드렸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어떻게 해서 우연히 힌트가 되는 것을 잡았고, 그걸 해내었는지 보여드리고자 합니다만, 내용이 너무 길어져서 하는 수 없이 2 부분으로 포스팅을 나누어야 했습니다. 그래서 첫번째 부분을 먼저 올려보고자 합니다. 언제나처럼 시행착오 중 입니다. 일단 1000.5f를 넘어서도 태양이 문제없이 뜨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얼마나 카메라가 비추는 화면에서 넘어갔는지도 체크해야 하는 과제이기는 입니다. 그리고 거리를 달리해서 체크해 보도록 합니다. 이 경우에는 100.5f를 넘어서 패럴렉스 스크롤의 화면이 바뀌는 것인데, 이번에도 문제없이 태양이 뜨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카메라가 비추는 화면에서 스프라이트.. 2018. 9. 24. 유니티5 독학하기 그 91.5번째 걸음-계속 화면에 잡히는 물체를 위한 패럴렉스 스크롤 part3 안녕하세요? 계속해서 이어지는 시행착오의 연속인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결국 다른 시도는 다 접어두고 다시 처음으로 돌아온다는 결론을 내리는 것을 보여주는 포스팅이 되겠습니다. 그 수많은 시행착오 끝에도 별다른 뽀족한 방법이 없자, 다른 각도로 보기 위해서 다시 처음으로 돌아오는 과정을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먼저 위 스크린샷에서 보여지는 유니티 스크립트 API에서 다른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결국 다른 시도를 위해서 한번 저 WorldToScreenPoint()메소드를 지푸라기라도 잡는 심정으로 시도를 해 보았습니다. 그래서 아예 leftEdge의 좌표값을 지정해 주는 메소드를 만들고, 메소드도 ViewportToScreenPoint()로 바꾸었습니다. 그런데 결과는 처참하게 실패입니다... 2018. 9. 23. 이전 1 ··· 697 698 699 700 701 702 703 ··· 8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