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셀305 다시한번 들어가는 데이터 분석-6-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도 역시나 지난번에 이어서 계속해서 나왔는 테스트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서 움직여 볼까 합니다. 일단 다소 지루한 감이 있을지 모르지만, 그래도 일단 이 내용하나하나가 중요하다는 생각이 들어서 실험노트에 해당하는 이 블로그에 포스팅 형식으로 올려 보고자 합니다. 이번에는 3번째 조건에 대해서 한번 bottom 10을 지정해 보고자 합니다. 일단 여기서는 Account를 기준으로 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합니다. 여기서는 F 검정 결과 양측검정 P 값이 유의수준 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등분산이 성립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걸 바탕으로 해서 다음의 T 검정을 받도록 합니다. 그리고 나서 다음으로 T 검정을 받아보았더니, 여기서는 어떻게 유의차가 없는 것으로 나왔습니다. 결국 손.. 2020. 6. 8. 다시한번 들어가는 데이터 분석-5-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도 역시나 이어서 계속해서 지나번에 테스트한 결과를 한번 가지고서 테스트해 보고자 합니다. 일단 유의학적으로 계속해서 차이가 나오는 것은 나오는데, 안 나오는 수치는 안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먼저 위 스클니샷을 보니면 알 수 있듯이 이번에는 이동편균선 + 표준편차 1배에서 bottom 10이라고 해서 손해를 본 종목 10개를 모아서 한번 보고자 합니다. 그리고 나서 다음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으로는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일단 F 검정을 한번 보아서, 여기서 등분산이 성립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일단 여기서 하나 알 수 있는 것으로는 우선 두 집단간의 계좌가 아무런 통계학적 유의차 없는 상태로 거의 갔다는 겁니다. 즉 손해를 제일 많이 본 종목 .. 2020. 6. 8. 다시한번 들어가는 데이터 분석-4- 안녕하세요? 결국 지난번 포스팅을 통해서도 어디서 이런 차이를 만드는 지를 알 수 없었습니다만, 그래도 다음 단계를 확인하기 위해서 일단 이번 포스팅의 내용을 올려 보고자 합니다. 여기서는 다른게 아니라 Top 10이 있으면 반대로 bottom 10이라고 해야 할까요? 수익이 아니라 손해를 본 10개 종목에 대해서 한번 알아 보고자 합니다. 먼저 위 스크린샷을 보시면 알 수 있듯이 일단 bottom 10을 한번 작업해 두도록 했습니다. 그렇게 해서 일단 total profit이 -가 된 종목들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다음으로 한번 작업을 들어가 보기 위해서, 일단 저 마이너스가 난 total profit을 한번 범위로 해서 통계학적 처리를 해 보고자 합니다. 일단 F 검정을 한 결과를 보면,.. 2020. 6. 7. 다시한번 들어가는 데이터 분석-3-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도 어디서 어떤 요소가 있기에 변동 Account Risk가 고정 Account Risk보다 더 많은 수익을 내는지에 대해서는 알 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하는 수 없이 이번 포스팅에서 이어서 가지가지 수치들을 분석해서 한번 작업을 해 보고자 합니다. 먼저 알아보기 위해서 우선은 Risk Reward Ratio라고해서 1원을 넣을 경우 얼마나 많은 돈을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기 위한 수치를 가지고서 통계학적인 처리를 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나서 다음으로 할 수 있는 것으로는 위 스크린샷을 보시면 알 수 있듯이 어떻게 F 검정을 하니까, 0.05인 유의수준보다 작아서 등분산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나서 T 검정을 한번 받아보고자 합니다. .. 2020. 6. 7. 이전 1 ··· 38 39 40 41 42 43 44 ··· 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