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585

방사능 오염구역의 자연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방사능 오염 구역 하면 대부분의 이미지는 아무것도 남지 않은 사막과 같은 자연환경을 떠올리기 쉽습니다만, BBC Science Korea 2018년 6월호 기사를 보니, 생각외로 자연의 회복력이라는 것은 엄청나다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핵폭발, 그 이후]라는 기사를 읽고서 이를 리뷰해 보고자 합니다. 기사는 먼저 국제 정세가 복잡해 지면서 소위 '운명의 날 시계(Doomsday clock)'라는 것을 언급하면서 핵이 어떤 결과를 초래할 것인지 걱정을 하면서 먼저 '비키니 환초'라는 섬의 사례를 들면서 기사를 전개하기 시작합니다. 이미 12년 동안 23개의 핵폭탄을 실험해서 더 이상 아무것도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 생각이 들 정도 였습니다. 그러나 핵실험을 하기 위.. 2018. 6. 22.
문신이 사실은 점점 희미해 진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예전에만 하더라도 조금은 꺼려지는 것이 되었는 이 '문신'이라는 것이 였는데, 이 문신은 한번 새기면 계속해서 유지가 되는 것 같지만, BBC Science Korea 2018년 6월호에 싣려 있는 기사에 의하면 영구히 유지가 되는 것이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서 문신이 점점 희미해 진다고 합니다. 일단 문신을 새기기 위한 잉크는 피부의 표피층 아래로 들어가기 때문에 밖으로 새어 나오지는 않습니다. 다만 이렇게 피부 표피층 아래로 넣기 위한 과정 때문에 문신을 새기는 데 어느정도 통증이 수반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것인데, 이런 잉크가 새어나오지 않는 다는 것으로 봐서 다른 이유로 인해서 문신이 희미해 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문신이 희미해지는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일까 하면, 바로 '자외선'.. 2018. 6. 21.
유니티5 독학하기 그 49번째 걸음-드디어 끝난 챕터4!!! 안녕하세요? 드디어...... 드디어 이래저래 유니티 NGUI 게임 프로젝트라는 책의 챕터4가 다 끝났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마지막 부분이라고 할 수 있는 이전 씬-메인 메뉴의 게임 오브젝트가 게임씬으로 옮겨가면서 원래는 다 파괴가 되는데, 그걸 막아서 다른 씬에 가서도 이 게임 오브젝트 들이 그대로 이어 지도록 만들어 주는 것 입니다. 먼저 이 작업을 위해서는 Singleton.cs라는 C# 스크립트 파일을 생성 하도록 합니다. 제일 처음에는 위 스크린샷과 같은 상태인데, 여기서 클래스 선언하는 부분-바로 이 스크립트 파일의 이름이 무엇이며, MonoBehaviour라는 부분을 변경해 주어야 합니다. 그래서 이런 작업을 위해서 아래의 스크린샷과 같이 만들어 주도록 합니다. 먼저 위 스크린샷과 같이 .. 2018. 6. 20.
유니티5 독학하기 48.75걸음-드디어 해결된 문제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어디가 문제였는지 몰라도, 제대로 진도를 못 나가고 암초에 부딪쳤다고 포스팅에 올렸습니다. 그런데 이제서야 해결책을 알아내서 어떻게 해결이 되어서 관련된 내용을 올리고자 합니다. 먼저 어디가 잘못된지 알아보고자 우선은 Debug.Log()라는 함수를 사용했으며, 1차 시도에서 resultA와 resultB라는 문자가 출력되도록 했는데, 처음에는 toggle이라는 값이 false라면 출력이 되어야 하는데 안 되었습니다. 그래서 하는 수 없이 이 값을 true라고 바꾸어 보았습니다. 그러자 모두 출력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걸로 왜인지 모르게 toggle의 값이 체크가 안되어 있을 때도 true라는 것을 알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런저런 시도도 안 먹히다가, 어디가 .. 2018. 6.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