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597 새로운 버그의 발견과 그 버그의 수정 -1-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으로 어떻게 해서 무언가 결론을 내린 것처럼 보였지만, 이상하리 만큼 손절매의 횟수가 많으면서 어떻게 수익이 전혀 없는 종목이 너무 많이 나왔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이런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서든 간에 어딘가가 버그가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먼저 확인하기 위한 과정을 거치도록 했습니다. 일단 계속해서 이상하리 만큼 수익이 나오지 않은 종목들 중에 하나를 아무렇게나 골래서 일단 코드를 복사하도록 합니다. 그리고 나서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일단 작동하기 위한 코드를 위에서 골라준 코드로 입력해서 한번 테스트를 들어가 보도록 합니다. 그러면서 저렇게 profit이 어떻게 나왔길래 총 수익이 0원이 되는지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기 위해서 작업을 하도록 해 .. 2020. 6. 6. 1차 테스트의 데이터 분석 -5-complete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고자 하는 것은 다른게 아니라, 여전히 이어지고 있는 이 데이터 분석 작업에 대해서 드디어 마무리를 지어 보고자 하는 내용을 올려 보고자 합니다. 이번 포스팅까지 올리고 나서 정리한 다음, 다음 스탭을 한번 세워 보도록 해 보아야 겠습니다. 그리고 나서 마지막 조건에서 한번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합니다. 이 조건에서는 순전히 VR이라고 volume만을 가지고 결정을 하는데 어떻게 나올지 모르겠습니다. 먼저 필요로 하는 것은 일단 F 검정에 대한 것을 먼저 시작해 보도록 하는 것 입니다. 일단 여기서는 먼저 T 검정을 어떤 것으로 사용할지 지정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서 다음으로 할 수 있는 것으로는 일단,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2020. 6. 6. 1차 테스트의 데이터 분석 -4-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어떻게 하다보니, 무언가를 잘못 해석해서 다시 테스트를 진행해야 했습니다. 아무튼 이 통계처리는 계속해서 이어지는 중이며, 이에 관련된 내용을 계속해서 실험노트에 해당하는 이 블로그의 포스팅으로 일단 올려 보고자 합니다. 다음으로는 3번째 매도/매수 조건인 RSI의 2번째 널널한 조건으로 한번 결과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 결과를 통해서 일단 무엇을 얻을 수 있을지는 아직은 모릅니다. 그리고 나서 다음으로 F 검정에 들어갔습니다. 여기서 하나 알 수 있는 것은 유의수준인 0.05를 넘어갔기 때문에 확실하게 둘의 분산이 같다 = 등분산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위 스크린샷에서 등장하는 것과 같은 등분산 가정 두집단에 대해서 통계적인 검정을 해주는 작업에 .. 2020. 6. 5. 1차 테스트의 데이터 분석 -3-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어떻게 복잡한 공식을 불러와서 작업을 해야만 하는 작업을 간단하게 끝낼 수 있었습니다. 이제는 나머지 조건에서도 이런 유의차가 나오는지 아닌지 알아봐야 하는 시간이 왔으니, 한번 통계처리에 들어가 보도록 합니다. 이제는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해서 계산을 하는 조건에 들어가서, 여기서는 일단 위 스크린샷에서 보이는 것처럼 어떻게 해서 변동과 고정 account risk별로 가장 수익이 좋았는 10개만 가지고 와서 일단 정렬을 하도록 합니다. 그리고 나서 F 검정을 이용하기 위한 준비를 하도록 합니다. 당연하다면 당역하게도 윗쪽에 있는 변수 1은 고정 Account Risk를 쓰도록 하고, 변수2가 변동 Account Risk를 사용합니다. 먼저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 2020. 6. 5. 이전 1 ··· 437 438 439 440 441 442 443 ··· 9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