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589 기술혁신이 비트코인 폭락을 불렀다? 안녕하세요? 저는 비트코인이라는 것에 대해서는 그저 '가상화폐'라고만 알고 있을 뿐 평소에는 관심이 없었습니다. 그런데 과학동아 2017년 8월호에 올라온 [충격적인 비트코인 폭락, 원인은?]이라는 기사를 읽어보니, 기술혁신이 엉뚱하게 작용해서 가치를 떨어트린 것인지, 아니면 일부의 돈 욕심이 많은 사람들이 원인이 되어서 '거품'이 낀 비트코인의 가치가 제자리로 돌아온 것인지 모르겠습니다만, 기사 자체의 내용이 재미 있어서 소개를 하고자 합니다. 먼저 비트코인이라는 것이 가상의 화폐이다 보니, 1초에 7건 처리가 된다고 합니다. 언뜻 듣기에는 처리 속도가 빠른 것 같기는 하지만, 기사에 따르면 비트코인 전체 거래량이 늘면서 속도가 상당히 느리다고 합니다. 그래서 개발자들이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 2017. 8. 16. 적응면역 이야기part4-T cell이야기 part2 안녕하세요?지난번 포스팅에서 올려놓은 내용대로, 지난번에 다 하지 못했던 T cell의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아마 남아 있는 T cell에 관한 내용이 그다지 많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의 길이는 짧으리라 예상을 하고 있습니다만, 그래도 어려운 '면역학'책에 나와 있는 내용이기에 최대한 알기 쉽도록 풀어서 쓰고자 합니다. 그럼 T cell의 못다한 이야기를 마저 하겠습니다. 비록 대식세포(macrophage)가 미생물을 잡아먹어서 죽이는 작용을 하지만, 일부 미생물은 대식세포 안에서 '살아남기'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면역학책에서는 대식세포가 가지고 있는 '선천적 사멸 메커니즘'을 무력화 시켰다고 합니다. 즉, 잡아 먹히기는 했지만, 미생물이 '소화'가 되지는 않는 상황이라고 보시면 .. 2017. 8. 15. 생물학과 양자 역학의 연결 고리가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양자역학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관련이 있을 것이라고는 양자 컴퓨터에 대한 것 밖에는 생각이 나지 않았습니다만, BBC science 2017년 5월호에 싣려있는 [당신의 뇌에서 일어나는 양자 물리학의 세계]라는 기사를 읽으보니, 생명과학과 양자역학이 희미하지만 연결이 되는 접점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자 하는데, 먼저 아래의 링크에 있는 내용을 읽어 주셨으면 합니다. 링크 : 상용화된 양자 컴퓨터-양자 어닐링 머신이란 것이 있다고 합니다. 먼저 양자 역학에 대해서는 저도 자세히 모르기 때문에, 양자 컴퓨터에 관해서 포스팅을 하면서 약간 알게된 것이 전부입니다. 다만, 우리의 눈에 보이지도 않는 작은 '입자'라고 해야 할까요? 이처럼 '미시적.. 2017. 8. 14. 아이러니한 사실-원자력 발전소 반대로 오히려 원전 사고를 부른다? 안녕하세요? 언제부터인지 우리나라도 원자력 발전소가 뜨거운 이슈가 되었는데, BBC science 2017년 5월호에 싣려 있었는 기사인 [원자력 에너지는 정말 위험한가?] 라는 기사를 읽어보니 우리만 이게 뜨거운 이슈인게 아니었습니다. BBC science가 출판되는 영국은 물론이고, 서구권에서는 이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에 대한 의문제기와 원전 건설 반대는 정말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것이었습니다. 아무튼 이 기사를 읽어 보다가 한가지 아이러니한 사실이 나와서, 기사 전체를 이번 포스팅에서 리뷰해 보고자 합니다. 먼저 기사는 그 유명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를 언급하면서 시작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과거에 커다란 원자력 발전소 사고인 1979년 '스리마일섬 원자력 발전소 사고'부터 시.. 2017. 8. 13. 이전 1 ··· 811 812 813 814 815 816 817 ··· 8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