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 토막상식 이야기192

생각해보면 어이없는 산성식품 논쟁 안녕하세요? 일단 기본이라면 기본으로, pH란 수소이온의 농도를 로그척도를 이용해서 0~14까지 나타낸 것이라고 합니다. 그래서 중성을 pH 7로 놓아서 7보다 낮은 pH숫자는 산서, 7보다 높으면 염기성으로 계산을 한다고 합니다. 그리고 혈액의 pH는 7.34~7.45 사이의 좁은 범위에서 유지가 되며, 위산은 pH 1.5~3.5사이, 피부는 4.7, 뇌척수액은 7.5 췌장 분비액은 8.1이라고 합니다. 인체의 어느 부위도 '음식'에 영향을 받아서 pH가 변하지 않으며, 소변의 pH가 4.6~8.0사이로 변하는데, 이 pH는 혈액이나 다른 인체 장기의 상태를 반영하지는 않습니다. 즉, 인체의 pH는 언제나 '산-염기 항상성(acid-base homeostasis)'이라는 것으로 유지가 되는데, 문제는 .. 2018. 1. 11.
새로 갱신된 에이즈(AIDS)에 대한 지식 안녕하세요? 제가 어릴적만 하더라도 에이즈는 치료법이 없는 불치의 병이며, 걸리면 답이 없이 죽는 것으로 생각이 되었습니다. 지금도 그러한 생각들은 변함이 없고, 그마나 예전에 들었다는 내용도 '칵테일 요법'이라고 해서, 항생제를 다양하게 대량으로 먹어서, 에이즈로 인해서 생기는 면역결핍에 그나마 대응할 수 있다고 알려진 정도 였습니다. 하지만 과학동아 2017년 12월호에 있던 기사인 '에이즈 예방시대'라는 기사를 읽어본 다음에는 이 에이즈에 대한 대처법이 많이 발전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먼저 기사에 언급된 내용에 의하면, HIV와 에이즈(AIDS:후천성 면역 결핍증)을 동일시 하는 데서 나온다는 것이라고 합니다. HIV가 인체에 들어 왔다고 해서, 이 바이러스가 바로 면역세포 (CD4+ .. 2018. 1. 8.
플라스틱을 대체할 5가지 물질 안녕하세요? 플라스틱이라는 물질은 상당히 자유자재로 모양을 만들 수 있으면서, 물에 녹지 않아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BBC science korea 2017년 12월호를 보니, 이 플라스틱이 너무 많이 바다에 버려진 나머지, 이대로 가면 2050년이 되면 바다에 물고기 보다 플라스틱이 더 많아 질 수 있다고 합니다. 위 사진에 나오는 곳은 '태평양 거대 쓰레기 지대'라는 곳으로, 추정치에 따르면, 미국 본토의 두배에 달하는 면적이 플라스틱 쓰레기에 덮혀 있다고 합니다. 물론 이 미국 본토의 2배라는 것도 위 사진처럼 빡빡하게 쓰레기가 뒤덮힌 곳만이 아니라, 보이지 않을 정도로 미세한 플라스틱이 스프를 이루고 있는 곳까지 포함해서 추정한 것이기는 합니다. 그래서 이게 단순한 해양 .. 2018. 1. 2.
비트코인 만드는 기술 적용된 메디블록(Medibloc) 안녕하세요? 얼마 전까지 비트코인이 과열되어서 정부에서 규제를 한다니,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화폐-엄밀히 말하면, '암호화폐'라고 하는 것이 실제로는 쓰이는 화폐와의 교환 가치가 폭락했다는 말이 나오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비트코인을 이루고 있는 중요한 기술인 '블록체인'이라는 기술을 이용해서 이를 '의료정보'에 적용한다는 '메디블록(medibloc)'이라는 것이 있다고 합니다. 일단 이 '메디블록'이 소개가 된 '이달의 신기술' 2017년 12월호를 보니, 메디블록은 어디까지나 '의료정보'에 관련된 것이지, 이를 무슨 화폐를 대체할 수단으로 만들고자 하는 것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 일단 저는 블록체인에 대해서 자세히는 모릅니다. 다만, 간단하게 말아본 바에 따르면, 아래의 그림과 같이 일종의 '모든 거.. 2017. 12.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