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과학 토막상식 이야기193

지난번 포항지진이 지열발전 때문이라는 설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예전에 포항쪽에서 규모 5.4의 지진이 발생해서 충격과 공포를 선사해 주었는데, 과학동아 2018년 6월호 기사를 보니, 이게 자연적인 지진이 아니라 지열발전에 의해서 발생이 된 '유발지진(induced earthquake)'라는 주장이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게 무슨 소리인지 알아 보고자 합니다. 먼저 지열발전이 무엇이기에 이렇게 지진을 유발했다는 소리가 나오느냐 하면, 먼저 지하 4~5km의 깊은 지하의 온도는 지표면 보다 훨씬 높다고 합니다. 특히 지진이 발생한 포항 지역의 경우에는 이 깊이에서는 지하의 온도만 해도 150도 이상이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지하 4~5km 깊에의 지하에 물을 채우고, 데워진 물을 끌어 올리는 관을 따로 박는다고 합니다. 위 그림의 묘사.. 2018. 6. 16.
과학기구라는 것이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기상현상을 관측하는데, 우리는 일반적으로 생각하기로는 인공위성을 사용하는 것으로 많이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과학동아 2018년 6월호 기사를 읽어보니, '과학기구'라는 것이 있어서 이에 대해서 흥미가 가기에, 이번 포스팅에서 한번 다루어 볼까 합니다. 이런 과학기구를 연구ㅡ개발 하는 이유는 크게 4가지 인데, 먼저 인공위성의 경우에 비해서 비용이 1/10~1/100 수준으로 값이 싸다는 것이 가장 큰 이유라고 합니다. 사실 대다수의 과학 연구가 그렇듯이 비용은 상당히 큰 문제라면 문제입니다. 결국 이 비용 문제는 무시할 수 없다고 생각이 듭니다. 거기다가 돈 만큼이나 중요한 것이 '시간'인데, 기사의 내용에 의하면 인공위성을 설계하고 우주에 발사하는 것까지 모두 2~3년의 시간이 걸.. 2018. 6. 14.
생각외로 심각한 해양 플라스틱 쓰레기 안녕하세요? 일단 예전에 플라스틱을 대체할 물질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면서, 해양아로 많은 플라스틱 쓰레기가 유입이 되며 잘게 쪼개져서 사람이 운 없게도 섭취할 수 있다는 이야기까지 했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링크: 플라스틱을 대체할 5가지 물질 그때도 이런 플라스틱에 의한 오염을 막기 위해서 위 링크에 들어가 있는 시도들을 있다고 언급을 하면서, 저렇게 해양이 플라스틱에 심각하게 오염이 되어 있다는 언급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내셔널 지오 그래픽 2018년 6월호 기사를 보니, 이 플라스틱에 의한 해양오염이 생각 이상으로 심각하다고 합니다. 우선 미국 조지아대 공학과 교수 제너 짐백이 계산해 본 결과, 해마다 해안 지역에서만 어림잡아 480만~1270만 톤의 플라스틱 쓰레기가 나온다고 하며, 이 쓰레기의 대.. 2018. 6. 10.
인공 광합성 이라는 것이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광합성이라고 하면 이건 식물이 물과 이산화탄소를 햇빛을 이용해서 포도당으로 전환하는 과정입니다. 그런데 과학동아 2018년 6월호 기사를 보니 이 식물의 전용 기능이라고 생각을 하였는 과합성이라는 것을 인공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이 소개가 되어 있어서, 이를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먼저 식물에서 일어나는 광합서에 대해서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식물에는 '광계(photosystem)'이라는 단백질이 있는데, 이런 단백질이 II과 I라고 2개가 있다고 합니다. 왜 이런 위 그림에서 묘사된 것과 같은 과정을 거치느냐 하면, 이러한 광합성을 하기 위해서는 물을 수소와 산소로 분해해야 하는데, 이 과정은 막대한 에너지가 소모 된다고 합니다. 그래서 식물 안에서는 이렇게 전자를 광계(photos.. 2018. 6.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