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86

관심도 없었던 새터민(탈북자)의 건강문제 안녕하세요? 어떻게 구해서 과학기술을 소개한다기 보다는 '과학비평'을 전면으로 표방하고 있는 잡지인 '에피' 2017년에 나온 2호를 읽어보니, '남한 내 북한이탈주민 건강(North Korean Refugee Health in South Korea, NORNS)'라는 것이 있다고 합니다. 진짜로 한국으로 들어온 새터민의 건강을 '코호트 연구'라고 해서 지속적으로 추적 관찰해서 조사하는 연구방법을 사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링크 : 통계적인 차이라는 말의 의미 먼저 나오는 기사는 북한에서 고난의 행군이라고 일컫어지는 시기에 탈북을 한 사람의 이야기를 하면서 시작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기사는 이러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단순히 평균수명만이 12년 차이가 나는 것만이 아니라 더 높은 우울증 발병율과 같은 보.. 2018. 1. 3.
플라스틱을 대체할 5가지 물질 안녕하세요? 플라스틱이라는 물질은 상당히 자유자재로 모양을 만들 수 있으면서, 물에 녹지 않아서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BBC science korea 2017년 12월호를 보니, 이 플라스틱이 너무 많이 바다에 버려진 나머지, 이대로 가면 2050년이 되면 바다에 물고기 보다 플라스틱이 더 많아 질 수 있다고 합니다. 위 사진에 나오는 곳은 '태평양 거대 쓰레기 지대'라는 곳으로, 추정치에 따르면, 미국 본토의 두배에 달하는 면적이 플라스틱 쓰레기에 덮혀 있다고 합니다. 물론 이 미국 본토의 2배라는 것도 위 사진처럼 빡빡하게 쓰레기가 뒤덮힌 곳만이 아니라, 보이지 않을 정도로 미세한 플라스틱이 스프를 이루고 있는 곳까지 포함해서 추정한 것이기는 합니다. 그래서 이게 단순한 해양 .. 2018. 1. 2.
양적 평가에서 질적인 연구평가, 한국에선 가능할까? 안녕하세요? 과학동아 2017년 12월호를 보니, 그간 한국의 연구평가라고 해야 할까요? 일단 연구개발(R&D)에 관해서 평가를 하는데, 특집으로 다루었는 기사가 있었습니다. 이 기사에서는 한국의 R&D평가를 기존의 양적 평가에서 연구의 질적인 평가로 가야 한다고 하면서, 해외의 사례도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저 개인적으로는 이 기사를 읽고나서 다소 회의적인 시선으로 바라보았으며, 그 내용에 대하여 포스팅을 하고자 합니다. 제가 첫 대학원에 들어갔던 것도 어느덧 거의 12년 전이 되어 가는데, 그때는 정말 SCI급 논문이라고 해서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학술지에 논문을 게재하기 위해서 모든 실험실이 목을 매고 있었습니다. 그게 지금도 변하지는 않았는지, 과학동아의 기사에 의하면, 2001년에 SCI급 저.. 2018. 1. 1.
CiMon Scada를 이용해서 태양광발전을 가정한 실습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주 금요일에 있었는 수업의 내용을 가지고서 포스팅을 하고자 합니다. 실제로 태양광발전기를 제어할 수는 아직은 없었으니, 이 상황을 가정해서 CiMon상에서 디자인을 하고, 여기에 여러가지 CiMon의 기능-차트의 생성이과 같은 것을 실습해 보았고, 그 내용을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언제나 그렇듯이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해서 작업을 하도록 합니다. 다음은 태양광 패널 자체를 구글에서 검색해서 집어 넣도록 하고, 다음으로는 라이브러리에 있는 배전반 등을 가져 오도록 합니다. 다음으로는 그림이라는 메뉴 안에 있는 Trend라고 경향감시를 가지고 오도록 합니다. 그리고 이름을 실시간 발전량 감시라고 지어 놓도록 하고, 최대 감시 시간을 2분으로 해서 YT, 즉 시간을 X축으로 .. 2017. 12. 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