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586 월요일에 있었던 미쯔비시PLC의 수업과제 안녕하세요? 드디어 길고 내용도 많았던 하루의 수업 내용을 다 정리해서 올리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과제로서, FIFR과 FIFW 명령을 이용하여 버튼 4개에 번호를 매기고, 몇 번 버튼을 언제 입력했는지 입력 순서를 저장한 다음, 번호에 해당하는 램프가 차례대로 점등이 되도록 하는 과제입니다. 일단 일차적으로 래더를 완성하는 데는 성공했습니다. 각각의 버튼마다 해당하는 고유의 값을 10진수로 D100에 입력하게 하는데, 나중에 FIFR명령으로 D100에 있는 명령을 가지고 오는 것으로 하도록 했습니다. 그리고 GT designer에다가 위와 같이 디자인을 하도록 합니다. 일차적으로 시뮬레이션을 돌렸습니다만, 제 의도와는 많이 다르게 움직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알고 봤더니, 컴.. 2018. 1. 14. FIFW와 FIFR, 그리고 FPOP명령어의 활용 안녕하세요? 하다보니 좀 많이 늦기는 했는데, 아무튼 이러니 저러니 해도 지난주 초에 있었던 수업의 내용을 다 정리하는데, 너무 양이 많아서 정리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는 걸리는 중입니다. 아무튼 이번 시간에는 좀 이해가 어렵기도 하면서, 어떨 때는 유용할 수도 있는 명령어를 실습하였고, 그 내용을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먼저 FIFW를 실습해 보기 위해서 일련의 래더를 만들어 놓았습니다. 그리고 GT designer에서 일련의 디자인을 하도록 합니다. 이제 시뮬레이션을 돌리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3이라는 값을 디바이스 D101~D105까지 입력을 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D100만 지정을 했지만, 나머지 아래의 디바이스는 알아서 지정이 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중간에 3을 입력하다가.. 2018. 1. 13. LS산전PLC에서 MOV명령과 BCD명령의 이해 안녕하세요? 이번 시간에는 많은 사람들이 헷갈려 하고 있는 MOV명령과 BCD라는 PLC의 ladder diagram에서 나오는 명령어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고자 합니다. 먼저 MOV명령에 대해서 설명에 들어 가고자 합니다. 뭐라고 해야 할까요? PLC도 어떻게 보면 초소형 컴퓨터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는데, 여기에도 CPU가 들어가 있습니다. 당연히 data(데이터)를 넣기 위해서는 2진수로 변환이 되어야 하며, 이를 PLC의 메모리에 넣는데, 문제는 어디에 들어가는 것이냐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데이터의 단위가 주로 '워드'라고 하는 단위로 저장이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이 단위를 워드라고 해서 16개의 비트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그리고 이 1개의 워드 안에서는 뭐라고 해야 할까요? 16개의.. 2018. 1. 13. 콘택트 렌즈에 대한 토막상식 안녕하세요? 개인적으로 시력이 좋지 않아서 계속 안경을 쓰면서 지내고 있습니다만, 그래서 그런지 콘택트 렌즈의 필요성은 그렇게 느껴본 적이 없는 사람입니다. 그래도 알아두면 편리할 것으로 보이는 유용한 지식이 Newton 2018년 1월호에 있어서, 이번에 콘택트 렌즈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고자 합니다. 먼저 근시라는 현상은 어떤 것이냐 하면, 단순히 가까이 있는 사물이 잘 안보이는 것만이 아니라, 눈알 안에서 만성적으로 사물이 망막보다 앞쪽에 상이 맺힌다고 합니다. 그럼 반대로 원시라고 해서 일반적으로 멀리 있는 사물이 흐릿하게 보이나, 실은 가까이 있는 사물도 잘은 보이지 않는다고 합니다. 아무튼 이 원시라는 것은 눈알 속에서 망막보다 더 뒷쪽에 사물의 상이 맺히는 현상이라고 합니다. 이런 시력 상식과.. 2018. 1. 12. 이전 1 ··· 770 771 772 773 774 775 776 ··· 8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