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585 세상의 모든 금속 안녕하세요? 오늘 포스팅에서 다루고자 하는 책은 '세상의 금속'이라고 하는 책인데, 저는 처음에는 금속의 제련에 관한 책을 기대하고 읽어 보았습니다만, 그런 내용은 없었습니다. 하지만 인간과 금속이 어떤 관련이 있는지에 대해서 여러가지 재미있는 이야기를 하는 책이라고 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 책은 결론부터 말하면 전문적인 지식을 얻기 보다는 가볍게 읽을 수 있으면서도 여러가지 재미있는 사실을 알 수 있는 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선 책은 저음에는 드릴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나아가고 있습니다. 지금와서는 별 것 아닌것 같은 금속에 구멍을 뚫는 것이 사실은 인류 역사에서 상당히 중요한 요소였다는 것을 이 책을 통해서 알 수 있었습니다. 왜냐고요? 우선 왓슨이 증기기관을 만든 것은 여러분도 아실 것.. 2018. 4. 1. 깨끗한 환경이 알레르기를 만든다? '위생가설' 안녕하세요? 듣자니 아토피도 알레르기의 일종이라고 하는데, 이런 알레르기에 대해서 '위생가설'이라는 것이 있다고 합니다. 이게 무슨 가설이냐고 하면, 깨끗한 환경에서 자라는 아이에게 알레르기가 잘 생긴다는 가설인데, 이런 가설이 나오게 된 이유에는 다음과 같은 인체의 기작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위생가설에 대해서 다루어 보고자 합니다. 먼저 인체에는 수지상 세포(dendrite cell)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 세포들은 바이러스나 세균을 잡아 먹고서 림프절로 이동한다고 합니다. 그러고 나서는 미성숙한 보조 T 세포(helper T cell)에 항원을 제시하는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이에 대해서는 과거에 이 블로그에 올려진 포스팅을 봐 주시기 바랍니다. 링크 : 선천적 or 내재적 면역.. 2018. 3. 31. 알레르기가 일어나는 기작(메커니즘)에 대한 짧은 지식 안녕하세요? 오랫만에 과학에 관련된 기사를 읽어보니, Newton 2018년 3월호에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아주 단편적인 지식이있어서, 이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원래라면 면역학 이야기에서 다루어야 할 이야기 이기도 하지만, 면역학 교과서처럼 세세하게 다루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고민하다가 결국 생명과학 이야기에서 다루게 되었습니다. 위 그림에서는 수지상 세포 혹은 수상 세포(dendrite cell)이라는 것이 항원-여기서는 꽃가루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원인 중에 하나인 '삼나무 꽃가루'인데, 이 삼나무 꽃가루가 먼저 수지상 세포에 잡아 먹히게 됩니다. 그렇게 하고 나면, 다음으로는 보조 T 세포(helper T cell)을 자극하게 된다고 합니다. 정확히는 항원을 제시하고 있는 수지상 세포가 보조 T.. 2018. 3. 30. 스마트 팩토리의 마지막-1주일만 더 있었으면 좋았을 것들 안녕하세요? 이번포스팅에서는 이 후회도 미련도 많고 정말 많았는 스마트 팩토리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이래저래 일주일만 더 있었으면 했던 내용들-추가로 후속 연구에 대해서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고자 합니다. 먼저 언급해야 하는 것은 QJ71MT91이라는 모드버스 모듈에 대해서 이야기를 먼저 해야만 합니다. 이 모드버스 모듈은 미쯔비시 PLC가 모드버스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부품인데, 불행히도 본 프로젝트에서는 이 부품이 없었습니다. 이게 무슨 문제인가 하면, 통상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PC, PLC와 현장이 연결되게 됩니다. 즉 PLC는 PC와ㅏ 현장에 있는 자동화 기계들-예를 들면 로봇팔이나 용접로봇, 혹은 palletizer라고 해서 상자등을 쌓는 기계들을 연결해야 하는데, 정.. 2018. 3. 29. 이전 1 ··· 749 750 751 752 753 754 755 ··· 8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