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587 알레르기가 일어나는 기작(메커니즘)에 대한 짧은 지식 안녕하세요? 오랫만에 과학에 관련된 기사를 읽어보니, Newton 2018년 3월호에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아주 단편적인 지식이있어서, 이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원래라면 면역학 이야기에서 다루어야 할 이야기 이기도 하지만, 면역학 교과서처럼 세세하게 다루고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고민하다가 결국 생명과학 이야기에서 다루게 되었습니다. 위 그림에서는 수지상 세포 혹은 수상 세포(dendrite cell)이라는 것이 항원-여기서는 꽃가루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원인 중에 하나인 '삼나무 꽃가루'인데, 이 삼나무 꽃가루가 먼저 수지상 세포에 잡아 먹히게 됩니다. 그렇게 하고 나면, 다음으로는 보조 T 세포(helper T cell)을 자극하게 된다고 합니다. 정확히는 항원을 제시하고 있는 수지상 세포가 보조 T.. 2018. 3. 30. 스마트 팩토리의 마지막-1주일만 더 있었으면 좋았을 것들 안녕하세요? 이번포스팅에서는 이 후회도 미련도 많고 정말 많았는 스마트 팩토리 프로젝트를 진행 하면서, 이래저래 일주일만 더 있었으면 했던 내용들-추가로 후속 연구에 대해서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고자 합니다. 먼저 언급해야 하는 것은 QJ71MT91이라는 모드버스 모듈에 대해서 이야기를 먼저 해야만 합니다. 이 모드버스 모듈은 미쯔비시 PLC가 모드버스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는 부품인데, 불행히도 본 프로젝트에서는 이 부품이 없었습니다. 이게 무슨 문제인가 하면, 통상의 경우에는 아래와 같은 형식으로 PC, PLC와 현장이 연결되게 됩니다. 즉 PLC는 PC와ㅏ 현장에 있는 자동화 기계들-예를 들면 로봇팔이나 용접로봇, 혹은 palletizer라고 해서 상자등을 쌓는 기계들을 연결해야 하는데, 정.. 2018. 3. 29. 드디어 완성이 되었는 스마트 팩토리의 1/3 안녕하세요? 일단 1/3이라고 해도, 제가 맡은 부분은 어떻게 완성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일단 제가 CiMonD에서 VBS로 코딩을 해서 완성한 것을 바탕으로 해서, 어떻게 해서 완성을 했는지 그 과정을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먼저 머신 집게라고 해서, 2축 Pick & Place를 어떻게 작동 시키는 지에 대해서 코딩을 했습니다. 제 경우에는 일단 재료가 5장 쌓이라고 했는데, 실제로는 6장이 쌓이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그렇게 재료가 쌓이는 것은 가상태그를 하나 만들어서 여기서 갯수를 계산하게 했습니다. 사소하지만 중요할 수도 있는 것이, 일단 일정한 그룹에 속해 있는 그룹명.태그명 이라는 식으로 태그를 지정해야 했습니다. 다음으로는 크레인 출하라는 스크립트를 따로 만들어서, 특.. 2018. 3. 28. 2축 Pick & Place의 제어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어떻게 해서 분류기계를 작동시키는 것 까지는 이야기를 했는데, 이제는 그 분류기계를 확장해서 자동으로 창고를 정리하는 스마트 팩토리를 만들어야 하는데, 이게 생각외로........ 가 아니라 상당히 어려운 과정에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일단 이번 포스팅의 내용에서는 주로 프로그램을 코딩한 내용이 주가 되는 것인데, 조금은 지루할 지는 모르겠지만, 그래도 잘 봐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일단 2축 Pick & Place를 가동하기 위해서 일련의 태그를 CiMonD에서 만들도록 합니다. 여기서 2축 Pick & Place는 바로 1번 축에서 재료를 잡은 다음, 다른 방향이나 라인의 컨베이어밸트로 옮기는 데 쓰는 로봇팔입니다. 먼저 처음으로 2축 Pick & Place가 가동하기 위.. 2018. 3. 27. 이전 1 ··· 750 751 752 753 754 755 756 ··· 8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