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587 blender로 머그컵을 만드는 도전-19-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어떻게 그 동안 저를 괴롭혔던 원통 안쪽에 대한 문제를 어떻게 해서 해결을 하기는 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다만 그렇다고 해도 아직 머그컵의 바깥쪽 면에 대해서 한번 직선화라고 해야 할지 일단 똑바로 펴는 작업을 시도해 보고자 합니다. 먼저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일단 동기화를 해제 해 주도록 합니다. 이렇게 해서 어떻게 바뀌는지 잘은 모르겠지만, 변화는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일단 이렇게 히고 나서, 윗 스크린샷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페이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만들어 준 다음에 하나의 면을 선택해 주도록 합니다. 그리고 나서 L키를 눌러서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머그컵의 바깥면만 선택해 주도록 합니다. 이렇게 해서 머그컵의 바깥면만 선택해 주.. 2020. 3. 7. blender로 머그컵을 만드는 도전-18- 안녕하세요? 어찌어찌 해서 무언가 해결책이 머릿속에서 떠 오르는 듯 해서, 이번에는 새로운 시도를 해서 어떻게 해결책을 찾아보려고 합니다. 아무튼 간에 이러한 시행착오도 기록할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이번 포스팅에서 그 수행하는 과정을 정리해서 올려 보고자 합니다. 먼저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일단 머그컵의 안쪽면에 또 다른 씨임을 만들어서 원통 안쪽이 2번 잘리도록 만들어 주도록 하니다. 그 다음에 A키를 눌러서 전체선택을 해준 다음에, U키를 눌러서 나오는 메뉴에서 펼치기를 선택하고, 거기서 나오는 옵션에서 위 스크린샷처럼 구멍을 채우기를 해제하도록 합니다. 이렇게 하자, 이전과 비교해 보아서 상당히 나은 상황이 벌어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일단 이게 제대로 된 것이 맞기는.. 2020. 3. 7. RSI 지수를 계산하기 위한 여정 -1- 안녕하세요? 평균회귀 방법을 사용하기 위한 매도/매수를 위한 룰은 평균과 표준편차만이 아니라 다른 방법도 있습니다. 그 중에 하나가 이 RSI라고 해서 relative strength index라고 하는 지수가 있습니다. 일단 이 지수를 사용해서 초기 테스트를 하기 위해서는 제대로 계산을 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일단 위키피디아의 영문 자료를 뒤져 보다 보니, 우선 close라고 해서 종가의 변화가 중요한데, 어제보다 종가가 오른 경우와 반대의 경우를 각각 U와 D라는 그룹으로 묶도록 하고, 이후에 Wilder's SMMA라고 하는 특별한 공식의 이동평균을 구해야 하는 과정이 있습니다. 이게 조금은 복잡하기는 해도 어떻게 계산을 해야 하는가 하고 생각했더니......... 이 RSI지수를 간단하게 그냥 .. 2020. 3. 6. 멀티 프로세스를 이용한 초기 테스트(initial test)를 하는 현장 -3- 안녕하세요? 드디어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한 초기 테스트의 내용도 마지막으로 올리는 포스팅이 왔습니다. 일단 이번 포스팅에서 마지막 조건을 동원해서 어떻게 초기 테스트를 했으며, 그 내용에 대해서 보고를 겸해서 포스팅을 올려 보고자 합니다. 그럼 시작하겠습니다. 먼저 위 스크린샷에서 보이는 것처럼 일단 코드를 30에서 10으로 변경해 주도록 합니다. 이렇게 하는 것으로 일단 준비는 되었습니다. 그리고 본격적인 초기 테스트에 들어가기 전에,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우선 10분봉 데이터 베이스를 가지고 만들 수 있는 결과를 저장하기 위한 폴더를 만들어 봅니다. 그리고 나서 10분봉을 사용한 초기 테스트에 들어갔는데, 결과에 대해서 먼저 9시간이 넘게 걸린 것을 확인할 수 있기는 있었습니다. 그리.. 2020. 3. 6. 이전 1 ··· 489 490 491 492 493 494 495 ··· 8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