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모한 도전-주식 인공지능 만들기

40period에서 나온 VR과 MFI기반 룰의 분석-3-

by 인터넷떠돌이 2020. 3. 27.
반응형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30분봉 캔들챠트 데이터 베이스에서 얻은 결과를 가지고서 분석하는 모습을 보여드렸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60분봉 캔들챠트 데이터 베이스에서 얻은 결과를 가지고서 분석한 결과를 보려드리고자 합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일로는,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일단 엑셀에 존재하는 붙여넣기 옵션을 이용해서 행열을 바꾸어주는 마무리로 표를 만들어 줍니다.

 

먼저 평균수익과 표준편차를 분석하는 과정을 밟아보았습니다. 일단 더 빡빡한 조건에서 여기서 일단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더 빡빡한 조건일 수록 수익이 더 커지는 것을 일단 볼 수 있기는 있는데, 그 양이 미미합니다.

 

그리고 나서 더 빡빡한 조건으로 가면 갈수록 거래량이 없는 종목이 더 늘어나는 경향이 있고, 이에 따라서 손해와 이익을 본 종목의 갯수가 줄어드는 경향이 감지되었습니다.

 

 

그리고 나서 다음으로 해야 할일로는 위 스크린샷에서 보이는 것처럼 일단 최대로 본 이익과 손해의 최대치를 비교해 봐야 하는데, 일단 여기서는 가장 빡빡한 조건에서 다시 이익의 최대치는 회복을 하였고, 손해는 가장 최저치를 기록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제까지는 VR지수에 대해서 계산을 해 보았기 때문에, 이제부터는 MFI지수를 기반으로 해서 계산을 해 보도록 합니다. 일단 엑셀에 있는 붙여넣기 옵션을 이용해서 위 스크린샷과 같은 도표를 얻는데 성공했습니다.

 

그리고 나서 여기서는 5번 조건으로 가며 갈수록 더 널널한 조건이라는 것을 생각해 보면, 조건이 가장 널널한 경우에 최대로 수익이 나오고 그 이후부터는 바닥을 기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나서 다음으로는 거래량이 없는 종목의 갯수가 초반부터 너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왜 이러는 것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일단 60분봉 캔들챠트를 사용한 탓인듯 합니다.

 

그리고 나서 최대로 본 이익의 크기와 최고로 본 손해의 크기를 한번 비교해 보았습니다. 여기서 나오는 양을 비교해 보면, 일단 널널한 조건에서는 이익과 손해의 최대치가 각각크지만, 이후엔느 너무 거래가 없어서 그 양마저 줄어드는 것이 아닌가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