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61 수익모델을 또 찾기 위한 여정-5- 안녕하세요? 다시 한번 더 수익모델을 찾기 위해서 또 다른 조건을 바꾸어서 한번 기계학습을 시키고, 여기서 만들어진 모델을 바탕으로 한번 투자 시뮬레이션을 해서 제대로 수익이 나오는 지를 살펴 보고자 합니다. 이전에는 지연보상 임계치를 15%로 동일하지만, 지연보상 규칙에서 그냥 있을 경우 0으로 바꾸어서 다시한번 이 보상규칙을 바꾸어서 강화학습에 들어가 보도록 합니다. 일단 에포크가 초반인데, 더 진행이 되면 될 수록 PV가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나서 600에포크에서 그냥 손해를 있는대로 보기는 했지만, 1000에포크에서 더 많은 수익을 내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나서 10, 200, 600, 1000에포크에서 나오는 값을 각각 요약한 요약본입니다. 그리고 나서 방금 만들.. 2018. 11. 10. 수익모델의 투자금 스케일(scale)이 커질 경우 수익을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42.9%의 수익을 내어주는 모델이 10만원의 투자금으로 투자했을 때를 기준으로 기계학습과 투자 시뮬레이션을 했는데, 투자금을 10배씩 늘려서 투자할 경우, 여기서도 제대로 수익이 나올 수 있는지에 대해서 한번 알아 보고자 합니다. 지난번에 42.9%의 수익률을 낸 모델을 다시 그 위치로 보내도록 합니다. 그리고 투자금을 100만원으로 10배 올리고, 최대 거래 단위를 100으로 올리도록 합니다. 일단 10배 올렸으니,43.9%의 수익률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오히려 1% 더 수익률이 더 늘린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 결과는 놀랍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번에는 1000만원으로 투자금을 늘리고, 최대 투자 유닛도 1000으로 올려서 한번 시뮬레.. 2018. 11. 10. 인공지능 주식투자로 더 많은 수익을 올리기 위한 여정-2-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새로운 시도가 그렇게 만족스럽지 않았고, 그런 와중에서도 테스트용 데이터 셋으로 다시 테스트를 했을 경우에는 변하는 것이 없이 제대로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도 더 많은 수익을 올릴 수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다양한 조건에서 기계학습을 진행시키고, 이 조건에 맞춰서 테스트용 데이터셋에서 얼마나 수익을 올릴 수 있는지를 알아 보고자 합니다. 이번에는 지연보상 임계치를 13%인 0.13이라는 수치를 지정해 주도록 합니다. 혹시나 해서 한번 정책 학습기에서도 변형을 시켜 주도록 해 줍니다. 기계학습에 들어가 보도록 합니다. 어느정도 시간이 걸리고 나면 기계학습이 끝나는데, 약 3시간 정도 걸린 듯 합니다. 기계학습 결과입니다. 일단 에포크가 높아지면서 수.. 2018. 11. 8. 인공지능 주식투자로 더 많은 수익 올리기 위한 여정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약 7개월간 42.9%의 수익을 올리기는 했는데, 이것만 가지고는 만족할 수는 없고, 더 많은 수익을 낼 수 없는지 한번 다른 조건으로 기계학습을 해서 시도를 해 보는 것으로 하고, 다음으로는 테스트용 데이터 셋에서 이 모델이 계속해서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을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다른 조건을 주기 위해서 이번에는 지연보상 임계치를 6%로 주고자 합니다. 혹시나 해서 몰라서 policy_learner라는 정책 학습기에서도 6%의 지연보상 임계치를 설정해 주도록 합니다. 일단 기계학습에 들어가 보도록 합니다. 임계지연 보상치가 6%로 낮아서 그런지 시간이 좀 더 걸리기는 걸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일단 기계학습의 결과입니다. 어찌된 것인지 학습이 더.. 2018. 11. 7. 이전 1 2 3 4 5 6 7 8 ··· 1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