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583 사진찍는 행위가 기억에는 이롭지 못하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한국 스켑틱(Skeptic) vol6.에 나온 [사진은 당신의 기억을 지운다]를 읽고서, 유용해 보이는 정보가 있기에 이를 소개하고자 포스팅을 합니다. 우선 기사는 다음과 같은 사실을 언급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합니다. 2012년 한 해에만 9천억장 이상의 사진이 찍혔다는 통계결과가 있으며, 페이스북에는 날마다 3억 장의 사진이 올라온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런 사진을 찍는 행동이 기억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실험을 하면서 [사진사의 기억상실]이라는 현상이 나온다고 합니다. 이 '사진사의 기억상실'은 다음과 같은 실험을 통해서 밝혀졌다고 합니다. 실험의 내용은 간단하게도 미술관에 피 실험자들을 데리고 가서 30점의 미술작품을 감상하게 했습니다. 그중에 15점은 그냥 감상만을 하도록 했고, 나.. 2017. 2. 19. XE독학하기 그 42번째 걸음-모바일에서 파일 첨부하기 기능의 보완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모바일 환경에서 파일첨부 버튼이 나타나지 않아서 애를 먹었는데, 이를 모바일EX라는 모듈을 이용해서 해결하였는 것을 포스팅하였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이 실제로 사용해 보니 문제점이 발생하였습니다. 일단 스마트폰상에서 파일을 첨부하는 것을 시도는 할 수 있지만, 로딩 시간이 무한이 걸리면서 파일첨부가 안되는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먼저 모바일EX에 대해서 위 스크린샷과 같은 해결책을 하나 얻었습니다. 그래서 php7을 쓰는 서버 환경에서 이런 문제가 생겼을 것이라고 생각을 해서, 언급된 mobileex.controller.php와 mobileex.model.php라는 파일을 FTP계정상에서 다운로드 한 다음에 eregi라는 함수를 preg_match라는 함수로 바꾸어 주는 작.. 2017. 2. 18. 우연종-incidentaloma가 있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한국 스켑틱(Skeptic) vol6.에 나온 [우연종, 너무 많은 정보는 오히려 해롭다]라는 기사를 읽으면서, 세상에는 이런 것도 있구나 하는 것을 알아서, 그 내용을 이번에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일단 우연종(incidentaloma)는 다른 이유로 영상의학 검사를 하다가 예상치 못한 질병을 발견하는 것을 말한다고 합니다. 이 경우 보통은 조직검사와 같이 외과적인 진단 검사를 더 실시한다고 합니다. 이 우연종을 한국 스켑틱에서 다룬 이유는 단 하나인게, 대부분의 우연종은 외과적인 검사를 해 보면 큰 문제는 없이 넘어간다고 합니다. 하지만, 문제는 외과적인 검사나 추가적인 검진을 위한 과정에서 오히려 이게 문제가 되어서 사람이 죽을 수도 있다고 합니다. 우선 외과적인 검진이라는 것이 당연 조.. 2017. 2. 18. 커뮤니티 사이트를 열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요 최근동안 XE를 가지고서 배운 것을 총 동원해서 커뮤니티 사이트를 한번 열어 보았습니다. http://urbanfarming.co.kr/xe 일단은 누구가 글은 로그인 하지 않고도 쓸수 있고, 사진이나 그림은 XE의 기능한계 때문에 로그인을 해야만 가능합니다. 제목에 도심텃밭이라고 하기는 했지만, 다양한 이야기를 나누고 채팅을 하셔도 별 상관이 없는 곳입니다. 물론, 지나친 광고글이나 음란물을 올리시면 하는 수 없이 삭제하는 수 밖에는 없지만, 그것만 아니면 무엇이든 올리고 마음대로 떠드셔도 괜찮은 곳입니다. 2017. 2. 17. 이전 1 ··· 858 859 860 861 862 863 864 ··· 8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