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583 XE 독학하기 그 39번째 걸음 - 구글 아이디로 로그인 만들기 part2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구글 아이디로 로그인을 하는 기능을 거의 다 만들어 놓고도, 마지막에 API오류가 뜨는 것을 보셨을 것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해서 구글 아이디로 로그인이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합니다. 해결책을 찾아보던 중에 우연히 위 스크린샷과 같은 내용을 발견하였습니다. 지난번 포스팅에서 구글 플러스 API는 활성시키는 과정이 없었는데, 이게 문제라고 판단을 하고서 바로 구글 API 콘솔 홈페이지로 들어갔습니다. 먼저 구글 API 콘솔 사이트에서 라이브러리로 가서, Google+ API를 선택해서 들어가도록 합니다. 그리고 나서 위 스크린샷에 나와있듯이 사용설정 항목을 클릭하도록 합니다. 사용하기로 설정이 되면 위 스크린샷과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이제 모든 .. 2017. 2. 14. XE 독학하기 그 38번째 걸음 - 구글 아이디로 로그인하기 기능구현하기 part1 안녕하세요? 지난번 시간에 카카오톡 아이디를 이용해서 XE로 제작된 홈페이지에 회원가입 없이 로그인을 하는 기능을 구현하였다면, 이번 시간에는 구글 아이디를 이용해서 회원가입 없이 홈페이지에 로그인을 하는 기능을 구현하고자 합니다. 우선 XE 홈페이지에 설치한 소셜XE에서 구글을 지원하는 것을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이유는 두말할 것도 없이, 여기 소셜XE에서 지원하지 않는다면, 저로서는 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 레벨을 넘어간 문제가 되기 때문입니다. 먼저 구글 검색창에서 [구글 API]라고 검색을 하여서 위 스크린샷과 같은 구글 APIs라는 홈페이지로 들어가도록 합니다. 당연 구글 계정은 필요하며, 먼저 필요에 의해서 사용자 인증 정보를 저는 먼저 만들도록 하였습니다. 일단 저는 제 G 메일 주소를 이메.. 2017. 2. 14. 처음 시작하는 인텔 갈릴레오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처음 시작하는 인텔 갈릴에오]라고 MakerMedia에서 출판된 책에 대한 리뷰를 하고자 합니다. 우선 먼저 Make 라고 하는 것에 대해서 제가 아는 대로 설명을 하자면, 일종의 DIY로 무언가를 만들자고 하는 운동의 일환으로 출판되는 일련의 서적입니다. 이 Make 서적들에서는 드론이라거나 3D 프린터에 대한 책도 다수 포함되어 있었으며, 일부는 로봇의 제작에 대해서 어느정도 다루고 있는 서적도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책의 본론으로 돌아와서 우선 인텔 갈릴레오라는 것이 무엇이냐 하면, 이 책에 의하면 아두이노와 호환되는 하드웨어 개발 보드라고 합니다. 그럼 여기서 아두이노란 무엇이냐 하면, 저는 개인적으로 처음으로 3D 프린터를 배우면서 아두이노 보드라는 것을 보았습니.. 2017. 2. 13. DNA혁명과 생명윤리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내셔널 지오그래픽 2016년 8월호에 실려있는 [DNA혁명과 생명윤리]라는 기사를 읽고서, 이 기사를 리뷰해 보고자 합니다. 먼저 기사는 모기를 연구하는 한 실험실의 이야기를 하면서 시작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이 모기에 특정 유전자를 집어 넣어서 더 이상 질병을 퍼트리지 못하도록 하는 유전자 드라이브라는 기술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면 말라리아는 모기가 옮기는데, 모기의 유전자를 조작해서 더 이상 말라리아를 일으키는 기생충이 모기의 체내에서 생존하지 못하게 해서, 이 모기를 자연계에 풀어 줍니다. 그러면 말라리아를 퍼트리지 못하도록 조작한 모기의 형질이 우성이라서, 후손인 모기들은 말라리아를 옮기지 못하게 되고 이런 형질의 모기로 대다수가 차지하게 되.. 2017. 2. 13. 이전 1 ··· 860 861 862 863 864 865 866 ··· 8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