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585

수익모델의 투자금 스케일(scale)이 커질 경우 수익을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42.9%의 수익을 내어주는 모델이 10만원의 투자금으로 투자했을 때를 기준으로 기계학습과 투자 시뮬레이션을 했는데, 투자금을 10배씩 늘려서 투자할 경우, 여기서도 제대로 수익이 나올 수 있는지에 대해서 한번 알아 보고자 합니다. 지난번에 42.9%의 수익률을 낸 모델을 다시 그 위치로 보내도록 합니다. 그리고 투자금을 100만원으로 10배 올리고, 최대 거래 단위를 100으로 올리도록 합니다. 일단 10배 올렸으니,43.9%의 수익률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오히려 1% 더 수익률이 더 늘린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이 결과는 놀랍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번에는 1000만원으로 투자금을 늘리고, 최대 투자 유닛도 1000으로 올려서 한번 시뮬레.. 2018. 11. 10.
수익모델을 또 찾기위한 여정-4-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수익을 내는 모델을 찾기는 찾았는데, 정말 쥐꼬리만한 수익만 내는 모델이 나와서 이래저래 실망이 많기는 많았습니다. 그래도 이번에도 또 다른 수익 모뎅을 찾을 수 있으리라 생각을 하고서 한번 찾아 보고자 합니다. 이번에는 지연보상 임계치를 15%로 지난번과 동일하게 지정을 하고 나서, 다시한번 움직여 보도록 합니다. 단, 지연보상 수치에서 상점을 2로 주고, 벌점을 -2, 그리고 그냥 있을 경우에는 0.5점을 주도록 일단 설정을 했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는데 약 5시간 정도로 너무 오랜 시간이 기계학습에 걸린 것 입니다. 일단 PV가치가 나오는 4번째 윈도우에서 보면, 너무 많은 학습이 이루어 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아무래도 이거 좋지 못한 징조가 나오는 듯 합니다.. 2018. 11. 10.
수익모델을 또 찾기 위한 도전-3-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수익률이 15.28%가 나오는 모델이 나왔는데, 이 모델만 가지고서는 만족할 수는 없어서 이번에도 다양한 시도를 할까 합니다. 이번에는 지연보상 임계치에 대해서 15.2%를 주어서 학습을 시키고자 합니다. 제 조건대로 제대로 기계학습이 이루어 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먼저 초반 에포트의 결과인데, 200에포스에서 엄청난 손해만 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어딘가 불길해 보이게 수익이 1000에포크에 가까워 질수록 더 나오는 것은 볼 수 있었지만, 손해도 그에 만만치 않음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어서 에포크간에 나온 학습결과의 로그입니다. 일단 에포크가 증가하는 것과 PV가 크게 관계가 없어 보입니다. 투자 시뮬레이션을 위해서 우선 방금 만든 모델을 지.. 2018. 11. 9.
수익모델을 또 찾기위한 여정-2-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보여준 실험결과는 수익은 커녕 손해만 보는 모델을 만들어 주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또 다른 수익 모델을 찾기 위해서 계속해서 시도를 해 보겠습니다. 먼저 지연보상 임계치를 15.4%로 설정을 해 주도록 합니다. 그리고 이제서야 알아냈는데, 정책학습기의 모듈도 변화시킬 필요없이 그냥, main모듈에서 지정해 주기만 하면 되는 것 이었습니다. 초반 에포크의 결과인데, 일단 수익이 꾸준히 나오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다만 600에포크에서 후반부에 손해를 많이 보았는 것이 좀 불안요인이기는 하지만, 아무튼 1000에포크까지 학습이 끝이 나기는 났습니다. 학습결과를 요약해준 로그인데, 일단 이것만 보면 학습내내 꾸준히 수익을 올린 것으로 나옵니다. 이제 방금 만.. 2018. 11.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