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586 60분봉차트를 이용한 도전 part2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60분봉 차트가 가망이 있어 보여서 어떻게 해서 강화학습을 시도, 5개의 모델을 얻는 것 까지 보여 드렸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5개의 모델을 가지고서 한번 백테스트를 해서 그 결과를 올리고자 합니다. 먼저 RLTrader를 실행시킨 다음에, 위 스크린샷처럼 5개의 모델중에 하나를 지정한 다음에 데이터 베이스도 지정을 해서 백테스트에 들어갈 준비를 합니다. 첫번째 백테스트를 했는 결과입니다. 이 결과에서는 전혀 수익이 나오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두번째 모델을 가지고서 행한 백테스트에서도 전혀 수익이 나오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어째서 인지 모르겠지만, 3번째 벡테스트에서도 전혀 결과가 나오지 않았습니다. 네번째 모델을 가지고서 백테스트를 했지.. 2019. 2. 11. 60분봉 차트를 이용한 도전 part1 안녕하세요? 계속해서 AJ렌터카의 주식을 가지고서 한번 강화학습을 해보고 있는데, 수익이 나오는 것은 오로지 일봉차트로 꽤 긴시간 투자를 했을 경우에만 나올뿐, 분봉차트로는 그렇게 큰 효과가 없어 보입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그나마 가능성이 있어 보이는 60분봉차트를 가지고서 한번 강화학습을 시도해 보고자 합니다. 먼저 왜 60분봉이 그나마 가능성이 있는지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일봉차트의 종가 변화량을 계산하는데, 방법은 (오늘의 종가 - 어제의 종가)라는 식으로 계산을 해서, 그 차이를 그냥 변화량 항목에 넣도록 하고, 그 다음에 그 변화량의 음수이냐 양수이냐는 관계없이 그냥 절대값으로 변환을 하였습니다. 여기서 나오는 변화량 평균이라는 항목은 바로 이 절대값으로 변환한 값들의 평균이며, 그냥 변화.. 2019. 2. 10. 2월 8일 해가 떠 있는 동안 시도한 주식 인공지능의 시도들 안녕하세요? 어떻게 하다보니 가지가지로 모자라는 것이 많이 있어서, 거의 오류를 수정하는 것은 못하고서 너무 오랜 시간 동안 강화학습에 들어가는 시간에 대해서 집중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이 포스팅이 올라온 2월 9일 오전 시점에서 어제인 2월 8일 주식시장이 열려 있는 시간동안 다양한 작업을 시도 하였습니다. 먼저 지난번에 1분봉 차트를 가지고서 너무 시간이 걸리는 강화학습을 보았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지연보상 임계치를 10%인 0.1로 두어서 강화학습에 들어가 보도록 합니다. 당연하다면 당연하게도 구글 드라이브에 있던 main.py를 제거한 다음에, 새로이 만들어 놓은 main.py를 업로드하는 것도 잊지 말도록 합니다. 그런데 생각했던 것 만큼 식간이 단축이 되지 않아서, 하는 수 없이 강화.. 2019. 2. 9. 아직도 문제가 많은 설날 이후에 열린 주식투자 안녕하세요? 설날이 끝나고 처음으로 열린 주식시장에 모의 주식투자로 제 인공지능 주식 투자자를 적용하는 것을 시도했습니다만, 이래저래 부족한 점이 아직도 많다는 것을 확인만 할 수 있었는 하루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무튼 이렇게 부족하고 엉망진창이기는 해도, 그래도 이를 기록으로 남기고자 이번 블로그 포스팅에서 올리고자 합니다. 우선 지난번 포스팅에서 언급한 대로 강화학습을 구글 코랩에서 시도를 하기는 했습니다만, 문제는 1000에포크에 도달하기도 전에 그만 구글 드라이브와의 연결이 끊겨 버리는 바람에 중간에 강화학습이 중단되어 버리는 문제가 생겨 버리고 말았습니다. 한마디로 시간은 시간대로 버리고, 이걸 신경쓴다로 잠은 잠대로 제대로 자지도 못한 상황이 되어 버리고 말았습니다. 그렇게 아침 9시가 되.. 2019. 2. 8. 이전 1 ··· 634 635 636 637 638 639 640 ··· 8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