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586

결과의 정리와 하나의 장벽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새로운 수익을 가져다 줄 것으로 기대가 되는 모델을 한번 찾아보는 알고리즘을 완성해서 작동을 시켜 보았으며, 이번에는 그 결과를 한번 살펴보는 시간을 가지도록 하며, 동시에 종목코드 000120인 CJ 대한통운에 대해서 강화학습을 시킨 모델이 얼마나 수익을 가져다 주는 지에 대해서 한번 살펴 보고자 합니다. 먼저 계속해서 CJ대한통운의 60분봉 차트를 가지고서 한번 강화학습을 계속해서 시키고 있는 결과입니다. 여기서는 어떻게 해서 수익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어서 2번째 강화학습이 완료가 된 상황입니다. 먼저 60분봉 차트에서 현재가의 절대변화량이 300을 초과하는 모든 종목을 찾아보았습니다. 그리고 나서 엑셀의 정렬 기능을 이용해서 가장 큰 값부터 .. 2019. 2. 17.
새로운 수익모델을 만들기 위한 종목찾기 알고리즘의 제작-5- 안녕하세요? 슬슬 새로운 수익모델을 찾기 위한 알고리즘의 제작도 거의 마무리가 되어 가는 듯 합니다. 아니 듯 합니다가 아니라 실제로 이게 거의 마지막인데, 다음으로는 찾았는 결과를 정리해야 하는 일이 남아 있는 듯 합니다. 아무튼 지난번 포스팅에서 너무 길이가 길어서 짤랐는데, 나머지 부분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진행을 하던 작업이 이번에도 무사히 완료가 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다음으로는 901번째 부터 1200번째 까지 작업을 이어가도록 해 봅니다. 당연하다면 당연하게도 텍스트 파일의 이름도 바꾸어서 만들어 줍니다. 이번에도 작업이 순조롭게 완료가 된 것을 확인할 수는 있었습니다. 이제 결과를 저장할 텍스트 파일의 이름을 바꾸어 주도록 합니다. 1201번째 부터 1500번째까지 한.. 2019. 2. 16.
새로운 수익모델을 만들기 위한 종목찾기 알고리즘의 제작-4- 안녕하세요? 지난번 시간에 또 다른 문제가 기다리고 있었다고 했는데, 실제로 단 한번의 시도로 간단한 아이디어는 제대로 구현이 되지 않았고, 거의 두자리수에 가까운 시도가 있고 나서야 어느정도 만족할 만한 알고리즘이 나오는 데 성공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아무튼 중간에 다른 일이 있어서 하루종일 못하기는 했지만, 그대로 거의 아이디어 하나 구현하는데 일주일이 걸렸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일단 위 스크린샷은 제가 아이디어를 구현하는데 사용이 된 가장 핵심이 되는 메서드입니다. 이 매서드에서 먼저 키움증권 openAPI로 부터 종목코드를 받아온 다음에, 이 코드들을 가지고서 첫번째 for loop를 돌렸고, 그 다음에 한 종목의 현재가가 얼마나 많은가로 부터 두번째 for문을 돌렸습니다. 그런데 이렇게.. 2019. 2. 15.
새로운 수익모델을 만들기 위한 종목찾기 알고리즘의 제작-3-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어떻게 다 완성이 되었다고 생각을 했었는데, 사실은 불완전하게 완성이 되어서 종목을 하나 나오기는 나왔는데, 무언가 석연치 않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그래서 이대로 끝낼 수 많은 없고 해서, 한번 또 코드를 손보는 작업을 진행해 보고자 합니다. 먼저 의심이 가는 부분은 바로 저 역순서라고 해야 할까요? 최신의 데이터가 가장 상위에 있고, 가장 하위로 가면 갈수록 과거의 데이터가 나오는 것이 문제라고 생각을 했습니다. 그래서 위 스크린샷처럼 dataframe = dataframe[::-1]이라는 코드를 입력하는 것으로 원래의 데이터 프레임 객체에 있는 데이터를 모두 역순으로 바꿀 수 있다고 합니다. 위 스크린샷처럼 가장 과거의 종가 데이터가 가장 위에 오게 만드는 데는 성공한 .. 2019. 2.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