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586

500에포크로 강화학습을 시킨 결과와 또 다른 좌절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어떻게 1000에포크로 강화학습을 시킨 결과가 너무 과적합이 되었는지 몰라도, 패턴이 2가지 정도로 백테스트 결과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한번 강화학습의 횟수인 에포크를 절반으로 줄여서 한번 들어가 보기는 보았습니다만, 이번에도 결과가 시원치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그 내용을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먼저 첫번째 강화학습의 결과입니다. 어찌된 것인지 몰라도 확습할 데이터의 양이 많아서 인지, 위 스크린샷에서 보이는 것처럼 3시간 50분에 가까운 시간이 걸린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나마 2번째 강화학습의 경우에는 위 스크린샷에서 보이는 것처럼 그나마 나은 상황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도 2시간 넘어 걸렸다는 것은 변하지 않습니다. 그.. 2019. 2. 22.
단타매매를 하기 위한 시도 중 찾아낸 새로운 오류 안녕하세요? 이래저래 왜 인지 모르는 모델이 제대로 결정을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는 와중에, 드디어 왜 지금까지 모델이 아무런 결정을 하지 않았는지에 대해서 알수 있게 되었습니다. 아무튼 이것을 바탕으로 새로이 강화학습에 들어가는 시도까지 해서, 그 내용을 자세하게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먼저 위 스크린샷처럼 10분봉 차트를 그냥 한번 최신으로 가지고 와서, CS홀딩스에 대해서 다시한번 백 테스트를 한 결과입니다. 일단 너무 과적합이 되었는지, 어째서인지 모델이 2가지 패턴중에 하나로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실제로 결정된 에포크 결과를 보면, 여기서는 그나마 다행으로 어째서 인지 모델이 행동을 결정했는데, 대신 2가지 패턴중에 하나로 나오는 것으로 봐서, 1000에포크의 학습은 너무 과적합이 된 것.. 2019. 2. 21.
드디어 나온 1분봉 차트의 결과와 또 다른 시련 안녕하세요? 이래저래 일이 있어서 오늘 하루종일 포스팅을 못 올리다가 이제서야 올리게 되었습니다. 일단 어제부터 연속해서 pycharm을 돌려서 1분봉 차트를 가지고 와서 이게 단타매매에 적당한지 아닌지를 알아보는 프로그램이 제대로 실행이 되었으며, 다음으로 cs홀딩스를 가지고서 0.1%의 지연보상 임계치를 가지고서 계속 작업해 보았는데, 여기서 실망스런 결과가 나왔다는 것을 올리고자 합니다. 먼저 위 스크린샷처럼 ohlcv라는 분봉차트를 가지고 오는 메서드에서 위 스크린샷처럼 틱범위를 1로 두어서 1분봉 차트를 한번 찾아보도록 합니다. 그리고 나서 가격은 1주당 20만원 미만이 되도록 지정을 해서, 예산규모에서 적절하게 거래를 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도록 합니다. 그러면서 어제에 이어서 계속 0.1%의.. 2019. 2. 20.
단타매매를 위힌 종목찾는 프로그램의 문제와 그 극복방법 안녕하세요? 일단 어제는 그렇게 성과가 나오는 날이 아니기는 아니었습니다. 강화학습을 해서 6개의 모델-거의 얻는데 8시간 이 걸린 작업을 했는데, 수익모델은 하나도 나오지 않았으며, 그렇게 구글 코랩에서 자동으로 강화학습을 시키는 동안 저는 10분봉 차트만 가지고도 안될 것을 생각해서 더 짧은 시간의 차트-1분봉을 가지고 오려고 시도를 했습니다만, 중간에 엄청난 문제에 봉착하게 되었습니다. 그건 키움증권에서 1000번 조회횟수를 넘기면 자동으로 Open API의 접속을 차단해 버리는 기능이 있다는 것 입니다. 이게 사람에 따라서는 1시간에 1000번이라고 하는 사람도 있지만, 제 경우에는 상당히 중요했습니다. 왜냐하면 이런 식으로 나오는 에러 때문에 전체 1600개가 넘는 코스피의 종목을 5개씩 쪼개어.. 2019. 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