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597

머그컵 옆면에 이미지를 입히는 작업 -5-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어떻게 참고자료를 새로 찾아서 무언가를 해 보기는 보았습니다만, 그래도 상황이 여의치는 않았습니다. 아무튼 여의치 않은 것은 여의치 않은 것이고, 이러저러한 시행착오를 한 것은 한 것을 그냥 날릴 수는 없어서 일단 이 실험노트라는 블로그에 한번 올리고자 합니다. 다음으로 작업을 하기 위해서 한번 셰이딩이라는 윈도우로 가서, 블렌더를 실행해 보도록 합니다. 이렇게 하는 것으로 일단 다음의 작업을 하러 갑니다. 먼저 다음으로 해야 할일은 이전에 만들어 놓은 머그컵이 자꾸 걸리적 거리는 감이 있기에, 이걸 제거하도록 하는 것 입니다. 그냥 옆에 있는 눈 모양의 아이콘을 감기도록 클릭만 해주면 되기는 되는 것 입니다. 먼저 셰이딩 윈도우에서 셰이드를 보시면, 위 스크린샷과 같은 노.. 2020. 4. 15.
머그컵 옆면에 이미지를 입히는 작업 -4- 안녕하세요? 오늘은 포스팅이 많이 늦었는데, 오랫만에 blender에서 해결이 되지 않았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가지가지 시행착오를 하기 위해서 많은 시도를 하다 보니 늦어진 감이 있습니다. 일단 일련의 시리즈를 다시금 이어가서 겨우겨우 성공한 것을 알리기 위해서, 늦게나마 오늘의 포스팅을 하고서, 나머지 내용을 올려 보고자 합니다. 먼저 해야 하는 일로는 이전에 했던 설정으로 이미지를 평면인 플레인으로 가져오기가 되는지 여부 부터 일단 알아 보도록 합니다. 일단 이렇게 해서 제가 머그컵의 옆면에 붙이고자 하는 그림이 제대로 생성이 되는 것 까지는 확인을 할 수 있기는 있었습니다. 그리고 나서 확인할 것이 있는데, 일단 텍스쳐 프로퍼티 항목으로 가서, 일단 혼합모드에 알파혼합이라고 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2020. 4. 14.
새로운 시도를 해서 데이터를 해석해 보기 -4-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너무 분량이 길어서 중간에 끊어야만 했는데, 이번 포스팅에서 마져 하면서 이제서야 이 방식의 데이터 정리가 어떤 의미가 있는지에 대해서 결론을 내리고자 합니다. 일단 60분봉 캔들챠트를 사용한 경우에는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급격하게 이익과 손해의 총합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제는 다음으로 볼 수 있는 캔들챤트 데이터 베이스 별로 어떻게 하나하나 정리해 본 것인데, 여기서는 재미있는 결과가 나왔습니다. 손해의 평균은 거의 변하지 않는데, 이익의 평균은 어째 캔들챠트의 분봉간격이 커지면 커질수록 점점 더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익과 손해의 합계를 한번 구해보니, 위 스클니샷과 같이 일단 이익의 총합은 어째서 인지 이익은 캔들.. 2020. 4. 13.
새로운 시도를 해서 데이터를 해석해 보기 -3- 안녕하세요? 어제 포스팅에 이어서 계속해서 새로운 방식으로 데이터를 분석하고 원래는 한개의 포스팅에서 이런 식의 데이터 분석이 의미가 있는지 없는지 계속해서 알아보는 식으로 가야 하는데, 내용이 너무 길어지는 감이 있어서 한번 잘라 주도록 했습니다. 다음으로는 캔들챠트에서 60period로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해서 가지고 왔는 결과를 한번 분석하는 단계에 들어가 보고자 합니다. 그리고 나서 엑셀의 행열 바꾸는 붙여넣기의 기능을 이용해서 위 스크린샷처럼 일단 도표를 정리해 보도록 합니다. 이렇게 하는것으로 일단 작업은 완료가 되었습니다. 일단 이런 식으로 먼저 해야 하는 일로는 10분본 캔들챠트 데이터 베이스에서 얻은 결과를 먼저 도표로 정리해서 그래프로 그릴 준비를 합니다. 일단 평균에 대해서 한번 그.. 2020.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