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597

Stensil작업을 위한 여러가지 시도-2-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 본격적으로 Stensil작업을 하고자 합니다만, 이게 하다보니 중간에 무슨 사고가 나서, 제대로 되지 않는 문제점이 하나 나왔습니다. 일단 거기까지는 포스팅을 하도록 하고, 나머지 작업에 대해서 다시금 이야기를 해야 겠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제 윈도우를 텍스쳐 페인트로 바꾸어 놓은 다음에, 이 다음으로 해야 할 것으로는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일단 브러쉬를 선택해 주도록 합니다. 그리고 프로퍼티 윈도우에서 텍스쳐 항목에 가서, 새로운 것을 선택해서 하나 추가해 주도록 합니다. 이렇게 해서 새로운 텍스쳐를 하나 추가시켜 주면.......... 그리고 나서 다음으로 할 수 있는 것으로는 프로퍼티 윈도우에서 새로운 텍스쳐가 하나 추가된 것을 볼 수 있는데, 여기서는 일.. 2020. 5. 17.
Stensil작업을 위한 여러가지 시도-1- 안녕하세요? 이래저래 힘이 들어서 한다고 하면서도 진도가 잘 나가지 않다가, 그럭저럭 나가게 되어서 일단 포스팅을 올려보게 되는 이 blender의 작업도 어느덧 재질을 구현하는 단계까지 가 보아야 하기는 하는데, 이래저래 포스팅부터 올리는 데 지연이 되기는 되었습니다. 아무튼 가장 먼저 해야 하는 작업으로는 이 Stensil이라는 작업을 먼저 해 보아야 하기에 먼저 글을 올려 보고자 합니다. 먼저 언급을 해야 하는 것이 있는데, 위 스크린샷처럼 texture paint 윈도우에서 볼 수 있는 프로퍼티 윈도우에서 번짐이라고 할 수 있는 항목이 있습니다. 이 항목이 왜 중요하냐 하면, 이게 0이 되면 UV맵에서 작성해 놓은 경계선이 색을 칠할때 보이게 되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래서 언제나 적정값을 주어야만.. 2020. 5. 16.
진짜 드디어 결정이 된 매도/매수의 룰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잠시 테이블을 만드는 단계에서 부터 오류가 있어서 다시 작업을 해야 했다는 것을 언급해야 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다시금 테이블을 MFI의 5번 조건부터 4개를 추가시키는 것을 시작으로 해서 작업을 시작해 보고자 합니다. 이번에야 말로 위 스크린샷에서 보이는 것처럼 일단 제대로 된 데이터를 가지고 와서, 테이블을 작성해 주도록 합니다. 이제 엑셀의 기본 기능에 있는 정렬 기능을 사용할 차례입니다. 그렇게 해서 정렬 기준으로 이익의 평균을 다시 지정을 했으며, 여기서 정렬 순서는 오름차순으로 정렬해 보도록 했습니다. 이제 그래프를 그릴 시간입니다. 먼저 이익과 손해의 평균에대해서 그래프를 그려 보았더니, 여기서는 위 스크린샷과 같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 2020. 5. 15.
드디어 결정이 된 매도/매수의 룰 안녕하세요? 그동안 정말 수 많은 초기 테스트-initial test를 시행해서 많은 지수들을 바탕으로 했는 룰을 테스트 해 보았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 Rule들의 결과를 한번 모아서 비교해 보아, 가장 좋았던 결과들을 모아서 나오면, 어떤 반응이 나오는지 아닌지를 한번 보고자 합니다. 먼저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일단 최상의 결과만이 나온 결과만을 모아서, 한번 테이블로 하나 만들어서 정리해 보도록 합니다. 그리고 나서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된다고 생각을 하는 이익의 평균에 대해서 한번 오름차순으로 정렬을 해서 그래프를 그려보는 작업을 하도록 해 봅니다. 먼저 이익과 손해의 평균과 표준편차에 대해서 한번 그래프를 그려 보았습니다. 일단 두번째로 이익의 평균이 크게 나온 종목이 .. 2020. 5.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