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586 지형지물 만들기 -9- 안녕하세요? 총 3개의 프로젝트를 돌리고 있는 중인데, 돌고 돌아서 여기 Yukkuri Run을 다시 하는 단계로 왔습니다. 일단 여기서 하나 이야기 하고 싶은 것은, 바로 지도를 그리기 위해서 일단 최선을 다하고 있는데, 이게 생각대로 다 척척 풀리는 것은 아니라는 것 입니다. 일단 지형지물을 만들기 위해서 사각형 평면을 불러서 X축과 Y축을 4배씩 늘려 보도록 합니다. 이렇게 하고 나서 다음은 무엇이냐 하면.......... 바로 파티클 시스템에 있는 헤어 기능을 이용해서 풀밭을 만들어 주는 것을 잊으면 안되기는 안됩니다. 일단 이렇게 풀밭이 만들어 지고 나면....... 그리고 풀밭이라기 보다는 잔디밭에 가깝기는 한데, 어쨎든 색상을 입히도록 해 봅니다. 이렇게 만들고 나서는, 다음으로 가야 할 것.. 2022. 2. 6. 다층 레이어의 탐구 -5- 안녕하세요? 일련의 다층 레이어를 가지고 가지가지 조건을 테스트 해 보았지만, 우선은 그렇게 좋은 것이 나오지 않기는 않았습니다. 그리고 나서 이 결과를 정리해 보니, 좀 더 많은 자료가 필요한데, 일단 그건 그것이고, 지금은 여기까지 했는 내용을 마무리로 정리해 보아야 합니다. 지난번 포스팅에서 어떻게 기계학습에 들어간 내용으로 만든 모델이 완성되자, 이번에는 이 모델을 바탕으로 하는 예측값을 가지고 오는 작업을 해보고자 합니다. 그리고 나서 다음으로 진행해 보고자 하는 것은, 일단 10개의 노드로 작업한 결과와 맞추어 보는 것인데, 아직도 새로운 방법이 기존의 방법을 뛰어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이제 다시금 type02라고 해서 한개의 층에 노드를 20개씩 배치하기만 해서 한번 기계학습에 다시 들어가.. 2022. 2. 5. 다층 레이어의 탐구 -4- 안녕하세요? 이래저래 한꺼번에 몰아서 한번 실험을 하고, 그 결과를 정리하려니 상당히 애를 먹는 시간이 왔는데, 그래도 일단은 이렇게 정리를 하기는 해야 합니다. 일단은 2종류의 함수만 써서 다층 레이어를 구성하는 방법은 슬슬 한계가 오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어찌되었건 한번 작업을 하기 위해서, 이번에는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20개의 노드를 히든층에 두도록 하고, 그 다음에는 3개의 히든층을 추가로 더 주었습니다. 그리고 나서는 2000에포크의 기계학습에 들어가 보도록 했습니다. 이렇게 해서 마무리가 나올 때 까지 일단 돌리고 또 돌려 봤는데........... 그리고 나서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gui와 같이, 일단 학슴을 통해서 나온 모델을 가지고 써서 어떻게 결과.. 2022. 2. 5. 다층 레이어의 탐구 -3-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다 끝내지 못하고 끝을 맺었는데, 이번 포스팅에서 관련된 내용을 다 해보기 위해서, 일단은 이전에 나오지 못한 데이터까지 다 가지고 와야 합니다. 그리고 나서 크롬 스프레드 시트를 이용해서 서로 비교분석을 해 봐야 하는 단계가 남아 있습니다. 일단은 여기서도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하나 나오기는 나왔습니다. 그런데 이 결과를 가지고서 비교분석에 들어가니, 좀 무언가가 어긋나기 시작을 하는데........... 먼저 새로이 시도한 방법이 기존의 것 보다는 더 나은 결과를 보여주기는 줍니다. 그런데 그렇게 크게 에러가 떨어진 것인가 하면, 그건 아니기는 아닙니다. 거기다가 더 심각한 것은, 상황이 나아지리라 기대하고 적용한 방법인 다층 레이어가 그렇게 특별한 우위.. 2022. 2. 5. 이전 1 ··· 148 149 150 151 152 153 154 ··· 8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