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589 우리가 자세히는 몰랐던 것-습도 안녕하세요? 날씨가 습하고, 불쾌지수가 올라가는 것도 모두 '습도'의 영향때문이라고 하지만, 정작 우리는 일상생활을 하면서 습도의 정확한 정의에 대해서는 크게 생각을 하지 않고서 살았습니다. 그러다가 Newton 2017년 9월호에 싣려 있는 기사를 읽어보니, 습도에 대한 기사가 있기에 관련된 내용을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고자 합니다. 그냥 간단하게 습도계를 쓰면 되지 않는가 하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위 사진처럼 구식인 습도계를 보면, 온도에 따라 습도를 다르게 표현하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실제로 우리가 일기예보 등에서 전하는 '습도'라는 것은 '상대습도'라는 것으로, 기사의 언급에 의하면, 습도라는 것은 '컵에 물이 어느정도 들어있는가로 비유'한다고 했습니다. 무슨 소리인가 하면, 습도라는 것은.. 2017. 8. 31. 붉은 불개미라는 것이 상당히 위험하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지난 2017년 5월에 일본 고베항에서 '붉은 불개미(Solenopsis invicta)'가 발견되어서 일본 당국이 비상이 걸렸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었습니다. 이때까지만 해도 '생태계 유해종 유입'으로 문제인가 보다 라고 생각을 하였는데, 이번 Newton 2017년 9월에 싣려 있는 기사를 읽어보니, 이 붉은 불개미가 사람에게 '엄청나게' 위험한 생물이기에, 이번 포스팅에서 이에 대한 내용을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위 사진을 보시면, 붉은 불개미의 배부분 끝에는 독침이 있는데, 진짜로 인간의 피부를 입으로 문 다음에, 궁둥이에 있는 '독침'을 찔러넣어서 '불에 탄 것 같은' 격렬한 통증을 일으킨다고 합니다. 당연 이 통증의 원인은 붉은 불개미의 '독액'에 있으며, 기사에 의하면 이 독.. 2017. 8. 30. 항체가 다양한 이유-유전자상에서 일어나는 이야기 part1 안녕하세요? 지난번 에서 항체를 만드는 유전자가 3군에 염색체에 나누어서 분포하고 있다는 이야기를 했는데, 염색체 안에 들어가 있는 유전자 마져도 마치 레고 블럭처럼 조립이 될 수 있다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야기를 이어서, 이게 무슨 말인지 부터 먼저 설명을 들어간 다음에, 추가적인 변이가 일어나서 항체가 더욱 다양하게 되는 이야기를 다루고자 합니다. 위 그림은 중쇄의 DNA상 배선구조를 묘사한 그림입니다. 먼저 L이라고 보라색으로 표시된 부분은 '리더 펩티드(leader peptide, L)' 이라고 불리우며, 그 기능에 대해서는 면역학 책에서 나와있지는 않았습니다. 그리고 V로 표시된 붉은색 부위는 'Variable(V) gene segment'라고 하는 '가변유전자 조작'이라고 .. 2017. 8. 29. 고양이에 대해서 잘못 알려진 7가지 사실 안녕하세요? 개와 더불어서 애완동물로 인기가 있는 것이 고양이인데, BBC science 2017년 5월호에 올라와 있는 [고양이에 관한 7가지 미신]이라는 기사를 읽어 보니까, 상당히 재미있고 흥미로운 사실이 많아서 이에 대한 내용을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고자 합니다. 일단 기사에 소개가 되었는 7가지 잘못 알려진 사실에 대해서 하나하나 다루어 보겠습니다. 1) 고양이는 훈련 할수 없다.많은 사람들이 개는 훈련을 시켜서, 맹인의 길을 안내하는 맹도견, 경찰의 일을 도와주는 경찰견, 군견 등으로 활용이 가능하지만, 고양이를 훈련시켜서 저런 특별한 일에 썼다는 이야기를 들어 본 적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널리 알려진 사실이 '고양이는 훈련이 안된다' 인데, BBC science의 기사를 읽어보니 꼭 그렇지만은.. 2017. 8. 28. 이전 1 ··· 807 808 809 810 811 812 813 ··· 8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