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587

다시한번 정리하는 세균과 바이러스의 차이점 안녕하세요? 생명과학-정확히는 유전공학 전공인 저로서는 얼추 박테리아(세균)과 바이러스의 구분이 가능은 한데, 비전공자에게는 어려운 일일 수도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러던 중에 Newton 2018년 3월호에서 자세하게 세균과 바이러스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하는 기사가 있기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의 차이점에 대해서 설명을 하고자 합니다. 먼저 세균인 박테리아는 생물에 확실하게 속하지만, 바이러스는 생물인지 무생물인지 애매하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일단 생물과 무생물을 구분하는 일반적인 3가지 기준은 다음과 같다고 합니다. 1.스스로 자손을 만들어 낼 수 있다.2.스스로 양분을 먹고 소화하고 에너지를 만드는 능력이 있다.3.외부 반응에 적응하고 진화할 수 있다. 이 3가지가 다 가능한.. 2018. 3. 6.
아직은 설레발에 가까울 수도 있는 가축의 분자 육종 안녕하세요? GMC라고 해서 유전자 변형 농작물에 대해서는 많이 들어 보셨을 것이고 생각하며, 여기 블로그에서도 여러번 언급을 했습니다. 링크 : GMO가 경제적으로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링크 : GMO(유전자 변형 생물체)에 대한 말말말 그런데, 그때 사소하게 넘긴 이 '분자육종'이라는 것이 이번 과학동아 2018년 2월호에 개제된 [저항유전자로 바이러스 막는 '슈퍼 가축'시대]라는 기사에서는 가축에 까지 적용 한다기에, 이 기사에 대해서 한번 리뷰해 보고자 합니다. 먼저 기사는 지금까지 발견된 구제역 바이러스는 80가지가 넘고, AI바이러스는 144종이나 된다는 사실을 언급하면서, 치료제나 백신에만 기대고 있기에는 너무 바이러스-특히 RNA바이러스가 옮기는 전염병이 수그러들지 않는다는 사실을 언급하.. 2018. 3. 5.
아두이노 보드의 아날로그 입력과 출력 제어하고, 스탭모터의 회전수까지 제어하는 실습 안녕하세요? 하다보니 드디어 지난주의 수요일 수업 내용을 정리해야 하는 단계에 왔는데, 이번에는 아두이노 보드를 이용해서 이 스탭모터만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아날로그 입력과 출력을 다루어 보았고, 이를 더 응용해서 센서가 감지하는 값에 따라서 스탭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 까지 실습하였습니다. 지난번에도 보여드린 적이 있는 것처럼 먼저 스탭모터를 제어하기 위해서 L293이라는 IC칩과 스탭모터를 연결 하도록 합니다. 가장 먼저 할일은 위 그림에서 나와 있는 것처럼 가속 운동과 감속 운동을 추가하는 것입니다. 1개의 회전 cycle안에 최대 속도까지 가속하고, 1개의 회전 cycle안에 0까지 감속을 하는 것이 목적인데, 일단 위 그림에서 나오는 것처럼 최저속도를 16Hz로 잡은 다음, 이 속도를.. 2018. 3. 4.
인터넷을 이용, PLC간에 연결을 하고, 스마트폰으로 스탭모터를 제어하는 실습 안녕하세요? 지난주에 있었던 수업을 이제 프로젝트를 수행한다고 너무 힘을 쓰다 보니, 이제서야 정리에 들어갔습니다. 아무튼 간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LS산전 PLC를 스탭 드리이버에 연결한 스탭모터를 제어하는것을 실습해 보았는데, 이번에는 무선으로 스마트폰에서 제어해 보이는 것을 해 보았습니다. 먼저 소개할 것은 XBL-EMTA라고 하는 이더넷 카드입니다. 이건 LS산전 PLC에 확장모듈로서 작동을 하며, PLC자체 보다 더 비싸다고 들었습니다. 일단 이걸 이용해서 먼저 PC의 XG5000과 PLC간에 통신에 먼저 들어가고자 합니다. 먼저 나온 것은 PC상에서 IP주소를 설정하는 것인데 IPv4의 속성을 자동으로 할당받음에서 수동으로 받는 것으로 바꾸어 주어야 합니다. 위 스크린샷에 나오는 주소는 학원안에.. 2018. 3.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