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 토막상식 이야기193 인공지능 의사 '왓슨'에 대한 최신 동향 안녕하세요? 예전 포스팅에서 인공지능 의사라고 해야 할까요? 의료용 AI인 '왓슨'에 대해서 포스팅을 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링크 : 인공지능 의사인 왓슨에 대한 기사를 읽고나서 그때는 왜 왓슨이 사용되며, 무슨 일을 하는지에 대해서만 설명을 하였는데, 9월달 '과학동아'의 기사를 읽어보니, 이 '왓슨'에 대해서 몇몇 흥미로운 사실이 있기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관련된 내용을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먼저 과학동아의 기사가 작성된 것은 8월달로 보이는데, 이 시점에서 한국에 '왓슨'이 도입된지는 9개월이 되었으며 414명의 환자를 진료하는데 사용이 되었다고 합니다. 한달에 평균 50명의 환자를 진단 했으며, 환자 한명당 20분 이상이 걸렸다고 합니다. 그러면서 이 과학동아의 기사가 나온 2017년 9월까지 .. 2017. 9. 16. 비트코인의 핵심원리는 블록체인? 안녕하세요? 비트코인에 대해서 지난번에 포스팅을 한적이 있기는 했습니다만, 그때도 왜 비트코인이 화폐로서 가치를 할 수 있는지를 이해 할 수 없었습니다. 하지만 [과학동아] 2017년 8월호 기사를 읽어 보니 어느정도 감이 잡히기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번 포스팅에 이어서 비트코인이 어째서 화폐로서 값어치가 있는지를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우선 기사에서 먼저 언급하는 것이 '블록체인'이라는 것을 언급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이란 '정보'를 하나의 덩어리(블록)으로 보고, 이것을 차례로 연결한 (체인) 기록 장부라고 합니다. 여기까지만 보면 이 '기록장부'를 조작하면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기도 하지만, 문제는 이 '기록장부'가 여러명에게 분산되어 저장되었기 대문에 모든 장부를 조작하기가 사실상 힘들다고 .. 2017. 9. 12. 근육에 대한 과학 안녕하세요? 단순히 멋져 보이려는 목적만이 아니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에서라도 근력운동은 매우 중요한데, 마침 Newton의 2017년 9월호 기사에서 근육에 대한 내용이 싣려 있었고 유용한 내용들도 많이 있었습니다. 일단 근육이라고 해서 다 같은 근육이 아니라, 심장을 박동시키는 '심근', 혈관이나 내장을 덮는 '평활근(민무늬근)'을 제외한 '골격근'으로 나누어 집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주로 다루는 것은 바로 이 골격근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위 그림은 '골격근'에 대해서 상세하게 풀어서 설명을 하고 있는 그림으로 근육은 그림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여러개의 근섬유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근섬유는 Newton의 기사에 의하면, 지구력이 뛰어난 '지근(slow muscle).. 2017. 9. 10. 내년부터 비만수술에 건강보험이 적용 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헬스조선 2017년 9월호 기사를 보고 있으니, 2018년 부터 미용목적 외에 건강을 위한 비만 수술에는 건강보험이 적용 된다고 합니다. 지금까지는 그렇게 보험적용이 되지 않았다는 것인데, 내년부터 보험적용이 된다고 하니 희소식은 희소식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이 비만 시술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포스팅을 하고자 합니다. 우선 체질량 지수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야 겠다는 생각이 먼저 듧니다. 이 지수의 계산은 간단 하게도 몸무게인 kg을 키(미터단위)의 제곱으로 나눈 숫자 입니다. 이 단위계산에서 주의해야 하는 것은 키가 '센치미터(cm)'단위가 아니라 '미터(m)'단위인 것에 주의를 해야 하며, 체질량 지수가 25이상, 30미만이면 비만이고, 30~35사이면 초고도 비만이.. 2017. 9. 6. 이전 1 ··· 24 25 26 27 28 29 30 ··· 4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