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88

진화론과 게임이론의 결합, 진화 게임 이론 안녕하세요? 게임이론이라고 말을 들어보기는 했지만, 그리 자세하게 알고 있지는 않습니다. 다만, 이 이론이 일종의 경제학 이론이라는 것만은 알고 있을 뿐인데, 이 '게임이론'이라는 것이 뜬금없이 '진화론'과 결합해서 'ESS(Evolutionarily Stable Strategy)'라고 '진화적으로 안정된 전략'이라고 해야 할까요? 과학동아 2017년 8월호에 있는 [유전자, 게임을 하다]라는 기사를 읽어보니, '진화게임이론'이라는 것이 소개되어 있었습니다. 먼저 기사에 나와있는 내용에 의하면, 게임이란 나와 상대방이 '상호작용'을 하고 있으며, 내가 취한 행동이 성공할지가 '상대방'이 어떤 행동을 취하는가에 달려있다면, 이런 상황을 '갈등상황'이라고 합니다. 기사의 언급에 의하면, 커피 전문점에서 아메.. 2017. 8. 26.
항체에 대한 세부적인 이야기 part3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약속드린 대로, 이번 포스팅에서는 면역 글로불린이라고 불리는 항체의 5가지 모양에 대해서 대략적으로-면역학책에서 이 이상은 들어가지 않은 부분은 저로서도 방법이 없습니다- 들어가 보고, 어떻게 항체의 다양성이 나오는 지에 대해서 V(D)J 재조합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고자 합니다. 먼저 항체의 5가지 변형이라고 해야 할까요? 5가지 종류 중에 하나인 IgM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위 그림은 IgM의 단량체 단위로, 실제로는 이렇게 존재하지를 않고, 5량체로 합체한 상태로 혈청 내에서 존재하고 있다고 합니다. 위 그림에서는 지난번 포스팅에서 다룬 '경첩'을 지닌 것처럼 묘사가 되었지만, 경첩부위에 하나의 '일정부위'를 더 보유하는 것으로 IgG와는 구별이 되는 차이점이라고 합.. 2017. 8. 25.
GMO(유전자 변형 생물체)에 대한 말말말 안녕하세요?이 블로그에서 GMO에 대해서 2번이나 포스팅을 하였지만, 이번 헬스조선의 [GMO정말 해롭나?]라는 기사에 올라온 5개의 기고문을 읽어보니 많은 생각을 하게 했습니다. 그런데 이 기고문 중에 3개는 GMO가 문제가 있다라고 주장을 하며, 나머지 2개의 기사는 문제가 없다는 주장을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에 대해서 어느 것이 옳다는 것 보다는, 각각의 기고문에 대해서 리뷰를 하고자 합니다. 첫번째 기고문은 임영석이라는 강원대학교 의생명과학 대학 교수가 기고한 기고문으로, 먼저 기고문에서 저자는 일단 도덕적으로 GMO에 대해서 비난을 하면서 우리나라의 GMO현황에 대해서 우려를 표하고 있습니다. 한국이 GMO 수입 '2위'인 국가인데, 문제는 '식용'으로 대부분 수입하고 있기 때문에 사실상 '.. 2017. 8. 24.
항체에 대한 세부적인 이야기 part2 안녕하세요? 지난번 시간에 항체의 세부적인 이야기에 들어가서, 항체(antibody)라는 것이 단순한 Y자 형태만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음을 부여 주었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더욱 세부적인 이야기를 될 수 있으면 알 기 쉽게 풀어서 설명을 할 것이며, 항체가 어떻게 항원(antigen)과 결합을 할 수 있는지와, 무엇이 항체를 다양하게 다양하게 만드는 지에 대해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 지난번 포스팅에서 페파인 혹은 파파인(papain)에 의해서 항체가 Fab와 Fc부위로 나누어 진다고 언급을 하였습니다. 이 Fab부위는 VH, VL과 CH1, CL의 영역이 짝을 이루면서 연결이 되어 있으며, CH1, CL부위는 이황화 결합에 의해서 안정되게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VH와 CH1, V.. 2017. 8.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