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87

인공장기 시대에 사용될 돼지 장기 안녕하세요? 저는 인공장기라고 하면 이제까지는 3D프린터를 이용한 바이오 프린팅을 이용한 방법만을 생각해 왔었습니다. 그런데 과학동아 2018년 1월호를 보니, 이런 인공장기를 만들기 위해서 실용성이 높은 기술로 '돼지의 장기'를 이식하는 방법이 소개되어는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자 합니다. 가장 먼저 해결할 문제로는 '급성 거부반응'이 있다고 합니다. 일단 이 반응은 돼지 장기에 있는 '알파 1,3-갈락토오스(알파갈)'이라는 당 성분이 인체의 면역 세포와 반응해서 급격한 '세포괴사'를 일으킨다고 합니다. 그렇게 급성 거부반응을 해결했다고 해도, 이후에 따라오는 '체액성 급성 거부반응', '혈관성 거부반응'이 수십~수백일 사이에 일어난다고 합니다. 그리고 장기 이식을 하.. 2018. 1. 31.
아두이노 보드를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서 스마트폰으로 원격조종하기 part2 안녕하세요? 아침 시간에 올린 포스팅에서는 아두이노 보드에 어떻게 해서 블루투스 모듈을 설치하며, 어떻게 해서 스마트폰과 연결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올려졌다면, 이제부터는 어떻게 해서 아두이노 보드를 컨트롤 하는지에 대해서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먼저 위 ㅣ그림에 나와있는 회로도 대로, 아두이노 Uno보드의 8번 핀을 저항과 LED와 함께 연결을 하도록 합니다. 그리고 위 사진처럼 결선을 하도록 합니다. 여기서 부터가 이제 본격적인 시작입니다. 일단 관련된 코딩을 합니다. 블루투스 통신으로 문자 a가 들어오면 8번 핀을 ON하고, d가 들어오면 8번 핀을 OFF한다는 내용입니다. 먼저 BT chat을 통해서 a라고 입력을 합니다. 여기는 동영상으로 찍지는 않았지만, 여기서는 LED에 불이 들어오는 것.. 2018. 1. 30.
아두이노 보드를 블루투스 통신을 이용해서 스마트폰으로 원격조종하기 part1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두이노 보드에 블루투스 통신 모듈을 장착해서, 스마트폰을 이용한 원격 조작을 했는 수업의 내용을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그런데 너무 내용이 길어서 하는 수 없이 2부분으로 나누어야 했습니다. 먼저 위 사진에 보이는 것이 블루투스 통신 모듈입니다. 블루투스 통신이란 제가 알기로는 적외선을 기반으로 해서 통신인데, 이 모듈을 아두이노 보드에 연결하면 통신이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확대했는 블루트스 모듈의 뒷 모습입니다. 여기서는 역시 5V와 GND가 연결되어야 당연이 작동을 할 수 있으며, RX와 TX라고 해서 읽기와 쓰기라는 포트가 당연 아누이노 보드와 연결이 되어야 합니다. 일단 이론적인 것에 대해서 설명에 들어가야 겠습니다. 일단 PC와 아두이노 보드와 통신을 하는 방식.. 2018. 1. 30.
딮러닝과 무엇이 다른지 잘 감은 안오는 기계학습 안녕하세요? 진나번 시간에 언급을 한대로 '기계학습'에 대해서 포스팅을 하려고 하는데, 우선 지난번 포스팅에 이야기했는 내용은 이전까지는 단순히 컴퓨터 안에서 사람의 신경을 모방 했다는 내용이라면, 이번에는 이 모방된 인공 신경망을 어떻게 조금은 더 구체적으로 내부에서 무슨일이 일어나서 '학습'을 하는지에 대해서 Newton 2018년 1월호 기사에 있는 내용을 토대로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먼저 위 그림은 뉴럴 네트워크에 의해 추출된 특징을 분류한 것입니다. 여기서 기계학습의 초반에는 위 그림의 묘사와 같이, '딸기'의 형태적인 특징을 파악하는데, 각각의 모양에 따라 확율을 매겼다고 합니다. 일단 기사의 내용만 봐서는 이 확률들이 정확히 어떤 논리에 의해서 매겨진 것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하지만 진정.. 2018. 1.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