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85

아두이노 보드의 아날로그 입력과 출력 제어하고, 스탭모터의 회전수까지 제어하는 실습 안녕하세요? 하다보니 드디어 지난주의 수요일 수업 내용을 정리해야 하는 단계에 왔는데, 이번에는 아두이노 보드를 이용해서 이 스탭모터만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라, 아날로그 입력과 출력을 다루어 보았고, 이를 더 응용해서 센서가 감지하는 값에 따라서 스탭모터의 회전 속도를 제어하는 것 까지 실습하였습니다. 지난번에도 보여드린 적이 있는 것처럼 먼저 스탭모터를 제어하기 위해서 L293이라는 IC칩과 스탭모터를 연결 하도록 합니다. 가장 먼저 할일은 위 그림에서 나와 있는 것처럼 가속 운동과 감속 운동을 추가하는 것입니다. 1개의 회전 cycle안에 최대 속도까지 가속하고, 1개의 회전 cycle안에 0까지 감속을 하는 것이 목적인데, 일단 위 그림에서 나오는 것처럼 최저속도를 16Hz로 잡은 다음, 이 속도를.. 2018. 3. 4.
인터넷을 이용, PLC간에 연결을 하고, 스마트폰으로 스탭모터를 제어하는 실습 안녕하세요? 지난주에 있었던 수업을 이제 프로젝트를 수행한다고 너무 힘을 쓰다 보니, 이제서야 정리에 들어갔습니다. 아무튼 간에 이번 포스팅에서는 LS산전 PLC를 스탭 드리이버에 연결한 스탭모터를 제어하는것을 실습해 보았는데, 이번에는 무선으로 스마트폰에서 제어해 보이는 것을 해 보았습니다. 먼저 소개할 것은 XBL-EMTA라고 하는 이더넷 카드입니다. 이건 LS산전 PLC에 확장모듈로서 작동을 하며, PLC자체 보다 더 비싸다고 들었습니다. 일단 이걸 이용해서 먼저 PC의 XG5000과 PLC간에 통신에 먼저 들어가고자 합니다. 먼저 나온 것은 PC상에서 IP주소를 설정하는 것인데 IPv4의 속성을 자동으로 할당받음에서 수동으로 받는 것으로 바꾸어 주어야 합니다. 위 스크린샷에 나오는 주소는 학원안에.. 2018. 3. 3.
오가노이드(organoid)에 대한 단편적 지식 안녕하세요? 간단하게나마 지난전 돼지의 장기를 사람몸에 이식하는 내용에 대한 포스팅에서 언급만 하고 넘어간 것이 하나 있는데, 그게 바로 '오가노이드(organoid)' 였습니다. 그때는 장기를 구성할 수 있는 세포를 체외에서 배양한 것인 줄로만 생각을 했었는데, 이번 과학동아 2018년 2월호 기사에서 조금이나마 관련된 내용이 있어서 포스팅을 하고자 합니다. 링크 : 인공장기 시대에 사용될 돼지 장기 우선 오가노이드가 무엇이냐고 간단하게 정의를 하자면, 바로 '실험용으로 배양하는 초소형 생체기관'이라고 합니다. 이게 기사의 내용에 따르면 2000년대 초반만 하더라도 줄기세포를 체외에서 배양을 할 수 없어서, 오가노이드는 시도도 할 수 없었다고 합니다. 그러다가 특이하게도 네덜란드의 '낭포성 섬유증'을 .. 2018. 3. 2.
우문현답? 야식에 관한 다른 관점 안녕하세요? 한국인이 사랑하는 치킨의 경우 식사용으로 소비가 되기 보다는 대다수가 야식으로 먹는 것일 텐데, OECD가 2016년 발표한 자료에 의하면, 2014년 한해 우리나라 국민 1인당 51.3kg의 육류를 섭취 했다고 합니다. 아침부터 우리는 육식을 하는 식습관이 아니기는 하기에 아마 저녁 식사 이후에 먹는 '야식' 때문에 이렇게 많이 육류를 소비한 것이 아닌가 합니다. 일단 머리로는 이 야식의 식단이 건강에 좋지 않다는 것은 이미 알고 있을 것입니다. 당연 치킨만 하더라도 고지방, 고염분, 도당분의 '삼박자'를 갖춰서 고혈압, 당뇨병등의 원인으로 지목이 된다고 합니다. 다만 한가지 다행인지 불행인지 모르겠지만, 오후 7시~8시 30분 이후에 하루 총 섭취 칼로리의 25~50%이상의 칼로리를 섭취.. 2018. 3.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