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87

10period에서 나온 VR과 MFI기반 룰의 분석-6-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캔들챠트 데이터 베이스에 따른 차이를 한번 비교 분석해 보았습니다. 그런데 이게 전부 VR지수를 기반으로 해서 나온 매도/매수 룰을 테스트 한 것이라서, 이제는 MFI지수를 기반으로 해서 나온 지수를 계산해서 한번 결과를 보고자 합니다. 먼저 해야 할일은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먼저 MFI결과를 각각의 분봉챠트별로 한번 정리해 본 다음에, 다음으로 엑셀의 정렬 기능을 사용해서 정렬해 보도록 합니다. 일단 가장 빡빢한 조건에서 한번 나온 결과를 한번 보도록 합니다. 일단 10분봉은 평균수익이 마이너스이고, 그외에 나온 조건도 60분봉으로 가면 좋아지기는 하지만, 그다지 좋은 결과는 아닌 듯 합니다. 다음으로 손해와 이익을 본 종목의 갯수에 대해서 한번 알아 보도.. 2020. 4. 7.
10period에서 나온 VR과 MFI기반 룰의 분석-5-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너무 길어서 끊었는데, 계속해서 VR지수를 바탕으로 해서 나온 결과를 가지고서 한번 작업을 이어서 가 보고자 합니다. 지난번 포스팅 마지막에서 평균수익이 왜 그리도 바닥을 기고 있는지 알만한 것이, 일단 손해를 보는 종목의 갯수가 이익을 보는 종목의 갯수보다 더 많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60분봉에 가서야 이 관게가 역전이 되는데, 이제는 거래량이 없는 종목이 더 증가합니다. 그리고 이익의 최대치와 손해의 최대량을 한번 비교해 보았더니, 이익의 최대량은 그렇게 변하지 않았고, 대신 손해의 최대치는 60분봉으로 갈수록 줄어들고 있습니다. 이제 조금 더 빡빡한 조건인 4번 조건의 평균수익과 표준편차를 그래프로 그려 보도록 합니다. 이렇게 해서 나온 결과를 보면, 역시나.. 2020. 4. 7.
10period에서 나온 VR과 MFI기반 룰의 분석-4-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까지는 어떻게 해서 각각의 캔들챠트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해서 계산한 결과만을 분석하였습니다. 이제는 데이터 베이스 별로 한번씩 살펴 봐야 하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다만 포스팅의 내용이 너무 길어지는 감이 있어서 하는 수 없이 중간에 끊어주기는 했지만, 일단 VR지수에서 캔들 챠트 데이터 베이스 별로 나온 결과를 한번씩 비교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일단 VR지수에 따른 매도/매수 룰을 테스트한 결과를 한번 도표로 정리해서 각각의 데이터 베이스 별로 모아 보도록 합니다. 그리고 나서 먼저 평균수익과 표준편차에 대해서 일단 그래프를 그리도록 했는데, 아무튼 1번 조건에서는 아무리 데이터 베이스를 바꾸더라도 처참한 수준의 평균수익을 피.. 2020. 4. 7.
10period에서 나온 VR과 MFI기반 룰의 분석-3- 안녕하세요? 계속해서 지난번 포스팅에 이이서 데이터 분석 결과를 올리고자 합니다. 일단 이제부터는 하루에 한개가 아니라, 여러개씩 속도를 내서 여러개의 포스팅으로 엄청나게 많이 나온 결과를 한번 올려보고 어떻게 결론을 내는지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를 해 볼까 합니다. 마지막으로 60분봉 캔들챠트에서 나온 결과만이 있었기에, 이 결과를 가지고서 한번 VR지수를 계산한 다음, 그 결과를 각각의 조건별로 도표로 만들어 보았습니다. 그리고 나서 위 스크린샷에서 나오는 것처럼 가장 빡빡한 조건으로 가면 갈수록 평균수익이 조금은 느아지는 것 같지만, 그렇다고 해서 수익이 좋으냐 하면, 여기서도 바닥을 기어 다니고 있습니다. 가장 널널한 조건에서는 손해를 본 종목의 갯수가 이익을 본 종목의 갯수보다 더 많다는 것을 볼.. 2020. 4.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