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무모한 도전-주식 인공지능 만들기

이동평균선과 표준편차의 새 데이터 분석 -1-

by 인터넷떠돌이 2020. 4. 19.
반응형

안녕하세요?

 

어떻게 하다보니 시간이 많이 걸렸습니다. 아무튼 간에 일단은 이익만 나온 종목과 손해만 나온 종목만을 나누어서 한번 이동평균선에서 분석을 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나서 마지막에 가 보니 어느정도 의미는 있는 결과가 나왔다는 생각이 들어서 한번 일련의 포스팅으로 내 보내고자 합니다.

 

먼저 위 스크린샷에서 보이는 것처럼 30 period를 이동평균선 계산했는데 나온 결과를 가지고서 일련의 새 데이터를 넣어 보는데 사용하도록 합니다.

 

이렇게 하는 것으로 일단, 일련의 테이블을 하나 만들어 보는 데는 성공했습니다. 이제 이렇게 하는 것으로 하나하나 분석해 보도록 합니다.

 

일단 이익과 손해의 표준편차에 대해서 한번 그래프를 그려보니, 우선 전체적으로 손해의 평균보다는 이익의 평균이 더 높은데, 표준편차에 가해지는 배수가 커지면 커질수록 가파르게 이익의 평균치가 내려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서 다음으로 할 수 있는 것으로는 우선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합계를 한번 비교해 보았는데, 표준편차에 가해지는 배수가 커지면 커질 수록 약간 손해의 총합은 커지지만, 이익은 진짜 급격히 내려갑니다.

 

다음으로 할 수 있는 것으로는 이제까지 10분봉 캔들챠트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해서 나온 것인데, 여기서 부터는 30분봉 캔들챠트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해서 나오는 결과를 가지고서 한번 작업에 들어갔습니다. 일단 여기서도 이익의 평균이 손해보다 높기는 하지만, 이후에 3배수를 해주는 시점에서 역전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할 수 있는 것으로는 이제 이익과 손해의 합계를 한번 비교해 보았는데, 여기서 나오는 것을 확인핼 보면, 표준편차에 가해지는 배수가 커지면 커질수록 이익은 급격히 줄어들고, 손해는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60분봉 캔들챠트 데이터 베이스를 한번 가지고 오도록 합니다. 여기서 나오는 값을 가지고서 비교해 보니, 표준편차에 가해지는 값이 2배만 되어도 이익의 평균수익이 손해의 평균보다 줄어드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습니다.

 

이제 마지막으로 한번 이익과 손해의 총합을 비교해 보면, 여기서 알 수 있는 내용이 하나 있습니다. 일단 이익의 합계는 표준편차에 가해지는 배수가 커질수록 급격히 내려가지만, 손해는 거의 변하지 않다가 둘다 같이 내려가는 경향을 보이기 시작합니다. 이렇게 해서 첫 걸음인 30 period에서 나오는 계산을 끝내는 데 성공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제 이것은 시작일 뿐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