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밍378 2라운드의 구글 코랩(google colab)작전 -11- 안녕하세요? 지난번 구글 코랩의 작업은 절반의 성공이라고 이야기를 했습니다. 이렇게 된 이유는 일단 구글 코랩에서 돌리는 것 까지는 어떻게 성공하기는 했습니다만, 문제는 그 속도가 상상이하로 느렸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어떻게 더 빠르게 할 수 있는 것이 없는지 한번 작업을 해 보고자 합니다. 먼저 시도를 한 것은 구글 코랩에서 GPU를 동원해서, 이걸로 하드웨어를 가속하면 어떤 변화가 나오는지 한번 알아보고자 했습니다. 일단 이렇게 구글 코랩에서 2번째 실험이 진행되고 있는 동안에, 다음으로 진행을 하고자 하는 것으로는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어떻게 데이터 베이스 파일에 문제가 생긴 것이 확실해서 가지가지 압축을 풀기 위해서 시도란 시도는 다 해보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계속해서 계속해도 어떻.. 2020. 7. 18. 2라운드의 구글 코랩(google colab)작전 -10-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어떻게 작업을 하기는 했습니다만, 문제는 구름 IDE에서 생각대로 문제가 제대로 풀리지 않았다고 했는데, 이 포스팅의 스크린샷을 찍는 순간에는 몰랐지만, 나중에 와서 보니까 거기서 문제가 생긴 것이 맞고, 그러면서 구글 코랩도 코랩대로 무슨 문제점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일단 먼저 해 보아야 하는 것으로는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여기서 그냥 py파일을 실행시켜 보았습니다. 그런데 일단은 실행이 되는 것 같기는 했습니다. 그렇게 한참을 가면서 아무런 문제가 없겠거니 했습니다만, 기어이 문제가 한 부분에서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일단 이 작업을 하기 위해서, 당연하다면 당연하게도 우선 필요한 모듈은 미리미리 pip명령어를 동원해서 깔아 주.. 2020. 7. 17. 2라운드의 구글 코랩(google colab)작전 -9-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 부터 본격적으로 구글 코랩을 이용하는데 성공했다고 할 수 있었고, 이것만 가지고는 부족해서 하나 더 작업을 시작한 것이 더 있어서 관련된 내용을 올려 보고자 합니다. 아무튼 간에 이 작업도 작업이고, 아이디어는 아이디어인데, 일단 자그만한 아이디어 구현하는데 들어가는 노력이 장난이 아니기는 합니다. 일단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가지고 올 수 있는 파이썬 외부 모듈은 다 가지고 오도록 합니다. 왜 이렇게 하느냐 하면, 이제 기존의 환경을 쓸 수 있는게 아니라, 구글 코랩상에서 하나하나 만들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파이참에서 성공적으로 적용이 가능했던 코드를 여기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한번 작업에 들어가 보도록 합니다. 일단 이렇게 해서 하나 작업에 들어갔으며.... 2020. 7. 17. 2라운드의 구글 코랩(google colab)작전 -8- 안녕하세요? 어제 포스팅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포스팅 꺼리가 상당히 밀려 있습니다만, 개인적인 사정에 의해서 포스팅이 밀렸는데, 이 밀려있는 분량을 처리하고 다음 스텝을 밟기 위해서, 계속해서 실험한 내용을 올려 보고자 합니다. 일단 이 올리기 위한 내용중에, 어떻게 시도하고 에러나오고, 이걸 해결하기 위한 계속되는 작업을 해야 합니다. 일단 기존의 subprocess에서 Popen을 대체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이 되는 run을 사용했지만, 이것 까지는 좋은데 기존의 communicate라는 메서드가 불능이 되면서 자식 프로세스로 데이터를 전달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1차 시도는 실패가 되었습니다. 극래서 일단 작업을 하다시 해 보기 위해서, 일단 코드를 구글 코랩에 올려 보고자 했습니다. 당연하.. 2020. 7. 17. 이전 1 ··· 49 50 51 52 53 54 55 ··· 9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