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586

유니티5 독학하기 19번째 걸음-게임서버 작업하기 part1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 [실전! 유니티5로 소셜 네트워크 게임 만들기]라는 책의 챕터8을 다 끝내고자 했는데, 하다보니 내용이 길어져서 포스팅을 2부분으로 나누어야 했습니다. 아무튼 먼저 php와 mysql을 연동하는 작업부터 들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노트패드++를 열어서 위와 같이 타이핑을 시작합니다. 그리고 나서 노트패드++에서 작성된 파일의 이믈을 Config.ini로 지정을 하도록 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작업이 마무리 되지 않았고, Config.ini에서는 아직 비어있는 부분이 있어서 이를 채워야 합니다. 제 계정 ID와 비밀번호는 그냥 알려줄 수 없으니, 하는 수 없이 이렇게 가리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이렇게 계정 ID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것으로 Config.ini를 작업하는 것은 완.. 2017. 6. 23.
발효종을 만들어서 나만의 빵 만들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알아도 그만, 몰라도 그만이지만, 그래도 알고 있으면 제빵/제과에 도움이 될지도 모르는 내용을 소개 하고자 합니다. 과학동아 2017년 6월호에 싣려 있었는 기사인 [세계 최초의 빵을 재현하다]라는 기사가 있었습니다. 그 기사에서 우리는 무심코 지나갔거나 신경쓰지 않았는 사실이 있었습니다. 우리는 흔히 하는 생각이 밀가루와 물, 그리고 현대에 들어서는 유화제나 방부제도 첨가를 하지만, 정작 빵을 부풀게 하는 이스트의 정체라고 해야 할까요? 우리가 보통으로 먹는 빵을 발효빵이라고 해서, 속이 부풀어 오른 빵을 먹는데, 베이킹 소다나 베이킹 파우더를 많이 쓰는데, 예전에는 이런 물질들이 없었을 때는 발효를 해서 빵을 부풀어 오르게 하는 과정이 있다고 합니다. 과학동아의 [세계 .. 2017. 6. 22.
석영과 시계의 관계 안녕하세요? 석영은 찾아보니, 장석에 이어 지각에서 두번째로 많은 광물이면서 산소(O)와 규소 (Si)가 결합해서 생성이 된다고 합니다. 다만 순수한 석영 (SiO2)의 형태로 존재하는 경우는 드물고, 철, 티타늄, 망간 등이 부분적으로 결합해서 다양한 변종들, 예를 들면 자수정, 황수정, 장미수정등의 형태로 존재한다고 합니다. 그런데 과학동아 2017년 6월호의 기사를 보니, 석영에 전류를 흘리면 진동을 하고 하고, 반대로 압력을 가하면 전기가 발생하는 '압전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여기서 석영에 전류가 흐르면 일정한 주기로 진동을 하는데, 1927년 벨 연구소에서 이런 진동을 하는 석영의 성질을 이용해서 석영 진동자 시계를 발명 했다고 합니다. 위 그림에 나와 있는 도면이 바로 쿼츠시계-석영에 전류를.. 2017. 6. 21.
신소재 나노 셀룰로오스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나노 셀룰로오스라는 신소재에 대해서 소개를 해볼까 합니다. 과학동아 2017년 6월호에 있던 [나무갈아 배터리 만든다?]라는 기사를 읽고 보면, 거기서 나노 셀룰로오스라고 하는 식물 세포벽의 주 성분이 되는 셀룰로오스를 나노단위 (1m의 10억분의 1수준)로 분해한 천연 고분자 물질이라고 합니다. 한국에서는 2007년부터 연구하기 시작한 나노 소재라고 기사에서 소개되어 있으며, 만드는 방법은 크게 2가지가 있다고 합니다. 하나는 목재 펄프를 2%정도로 물에 풀어낸 다음, 구멍이 미세한 체에 통과 시켜서 잘게 찢긴 나노 섬유로 만드는 방법이라고 합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황산 용액에 넣어서 상대적으로 약한 비결정질이 녹고, 결정만 남기는 방식이라고 합니다. 두가지 방법 모두.. 2017. 6.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