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597 RSI지수와 새 데이터 분석법 -4-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40 period에서 나온 결과를 가지고서 한번 작업을 하였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후속작업으로 초기 테스트 - initial test에 사용이 되었는 분봉 캔들챵트 데이터 베이스 별로 결과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에 대해서 한번 포스팅을 올리고자 합니다. 먼저 1번 조건에서 캔들챠트 데이터 베이스의 분봉 간격에 따라서 어떻게 바뀌는 지에 대해서 한번 비교해 보았는데, 일단 30분봉 캔들챠트 데이터 베이스가 되면서 점점 이익의 평균은 줄어들고, 60분봉 캔들챠트를 사용할 경우 최하입니다. 그런데 그에 비해서 손해의 평균은 그렇게 변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는 2번 조건으로 한번 결과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여기서는 1번 조건에 비해서 더 이익과 손해.. 2020. 4. 23. RSI지수와 새 데이터 분석법 -3-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까지는 60period에서 얻은 결과를 가지고서 한번 작업을 해 보았는데, 여기서는 이제 더 짧은 period인 40에서 얻은 결과를 가지고 일단 각각의 데이터 베이스 별로 이익과 손해의 평균, 그리고 이익과 손해의 총합을 비교하는 과정을 거치고자 합니다. 먼저 해야 할일은 위 스크린샷에서 보이는 것처럼 우선 각각의 결과에다가 새로운 종류의 데이터를 확보하는 일이 필요합니다. 이 이후에는 바로 새로운 시트에서 모아서 테이블로 만들어 주도록 합니다. 먼저 10분봉 캔들챠트 데이터 베이스로 얻은 결과를 한번 알아보도록 합니다. 여기서 나오는 값을 가지고 보면, 이익의 평균은 조건이 조금만 빡빡해져도 그냥 급격히 낮아지는데, 손해의 평균은 거의 변하지 않는 것 같은 경향을 보이고 있습.. 2020. 4. 22. RSI지수와 새 데이터 분석법 -2-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RSI지수를 계산하면서, 어떻게 하기는 했는데, 정작 데이터 베이스 별로 결과가 어떻게 달라지는 지에 대해서는 한번도 해 보지 않았습니다. 아무튼 간에 계속해서 데이터 분석을 했는 결과의 이 시리즈를 한번 올려 보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1번 RSI기반으로 하는 매도/매수 룰에서 한번 캔들챠트의 분봉간격이 변하는 것에 따라서 어떻게 결과가 달라지는 지 한번 보니까, 일단 이익의 평균은 캔들차트의 분봉이 커지면 커질수록 점점 떨어지는데, 손해는 반대로 커지는 현상을 관측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2번 조건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니까, 상황이 더 나빠져서, 이익과 손해의 평균간의 간격이 더 좁아진 - 거의 일정하게 이익과 손해를 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나서 다음으.. 2020. 4. 22. RSI지수와 새 데이터 분석법 -1- 안녕하세요? 어떻게 잘 되는 김에 몰아서 한다고 RSI지수를 기반으로 해서 얻은 초기 테스트 결과를 새로운 방식으로 분석하는 데이터 분석을 시행하였는데, 문제는 이 작업을 하면서 어째 하다하다 가지가지 일이 있어서 하루종일 걸렸다는 것 입니다. 그래서 21일 포스팅이 하나 밖에 없었고, 아무튼 이제부터 그날 모아서 했던 RSI지수 결과를 몰아서 일련의 포스팅 시리즈로 만들어 볼까 합니다. 먼저 해주어야 하는 것으로는 가장 긴 계산 period를 지닌 60 period에서 얻은 결과를 가지고서 한번 작업에 들어가 보도록 하는 것 입니다. 일단 위 스크린샷처럼 하나하나 만들어 주도록 합니다. 먼저 10분봉 캔들챠트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해서 초기 테스트를 하였을 경우 나오는 결과를 한번 보도록 합니다. 여기서.. 2020. 4. 22. 이전 1 ··· 460 461 462 463 464 465 466 ··· 9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