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589 GMO가 경제적으로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은 BBC Science Korea의 2017년 2월호에 있는 [이제는 유전자 조작 식품을 받아들여야만 할까?] 라는 기사를 읽고 상당히 유용한 내용이 있기에, 이를 소개하고자 포스팅을 합니다. 우선 GMO에 대한 일반적인 대중의 시선을 이야기 하자면 끝이 없을 정도로 많은 의심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잊지 말아야 하는 사실은 이 GMO가 제 아무리 유전자 조작을 한다고 해도, 결국 농작물에 지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사람몸에 들어가서 소화가 되면, 흡수가 될 때는 유전자 조작으로 나오는 산물은 이미 다 분해가 되어 버립니다. 기사에 의하면 2015년에 유전자 조작 종자가 이미 153억 달러 정도 팔렸으며, 미국에서 재배되는 옥수수와 콩, 목화의 90% 이상은 유전자 조작.. 2017. 3. 3.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독학하기 18일째 안녕하세요? 3번 연속 포스팅에서 계속해서 위험한 권한을 부여하는 작업에 애를 먹었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런데로 해결책이 나와서, 그 내용을 포스팅하고자 합니다. 우선은 기존에 startActivity(변수이름); 을 코딩하면, 여기서 권한의 문제로 계속 빨간색 밑줄이 그어지게 되었습니다. 결국 밑줄이 쳐 있는 곳에서 Alt+Enter를 치면, 위 스크린샥과 같이 권한을 체크하는 문구가 나오게 됩니다. 여기서 저는 밑줄이 쳐져 있는 this가 무엇인지 몰라서 애를 먹었습니다. 결국 여러번 알아본 결과 여기는 context context라는 부분으로 소위 context라는 것이 들어가는 부분이라는 것을 알아냈습니다. 그리하며 getApplicationContext() 라는 메서드를 입력하자, 여기서 발.. 2017. 3. 2.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독학하기 17일째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부터 안드로이드가 6.0으로 업데이트 되면서, 위험한 권한으로 분류된 '전화걸기'를 허락받기 위해서, 애를 쓰고 있습니다. 하지만, 새로운 책을 구입했음에도, 아직까지는 벽에 부딪쳐 있는 상황이기는 합니다. 우선 Do it 안드로이드 앱 프로그래밍 4판을 에서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었습니다. int 변수이름 = ContextCompat.checkSelfPermission(this,Manifest.permission.얻고자 하는 권한); 먼저 이 구문을 추가해서, 아래 프로그래밍으로 권한이 있는지 없는지 여부를 체크하기 위해 들어가는 구문을 만듭니다. if(변수이름 == PackageManager.PERMISSION_GRANTED) { Toast.makeText(this,"아무 텍.. 2017. 3. 1. 인공적인 쥐 난자에서 새끼쥐가 태어나다.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BBC Science Korea 2017년 2월호에 싣려 있는 기사인 [실험실에서 만든 난자에서 건강한 쥐가 태어나다]라는 기사를 읽고서, 생명과학을 하는 사람들에게 유용해 보이는 것이 있어서, 그것을 소개하고자 포스팅을 올립니다. 기사의 내용은 간단합니다. 일본의 규슈대학교에 있는 하야시 카츠히코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이 성체 쥐의 꼬리 끝에서 췌취한 피부 세포를 이용해서 쥐의 난자를 만들고, 이걸 체외에서 인공수정을 한 다음에 대리모에 이식해서 건강한 새끼 쥐가 탄생한 실험입니다. 우선 그림으로 간단하게 설명하겠습니다. 맨 왼쪽에 있는 것이 피부입니다. 이렇게 쥐의 피부에서 세포를 추출한 다음에, 기사에서는 자세히 나와있지 않지만, 일단 이 피부세포를 줄기세포로 유도합니다.. 2017. 2. 28. 이전 1 ··· 856 857 858 859 860 861 862 ··· 8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