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587

미쯔비시 PLC를 이용한 메모리 번지수와 데이터의 전송part2 안녕하세요? 어제 포스팅에 이이서 화요일에 있었던 수업의 내용을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지난번 포스팅에서도 언급을 했지만, 고등학교때인가 배웠는 진수라는 개념이 여기서 사용되는 것을 보고서 무어라 할말이 없었습니다. 이번에는 BMOV명령부터 들어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BMOV D0 K1M30 K3] 라고 한다고 하면, 먼저 D0에 저장된 값부터 K3라고 했기 때문에, D0를 포함한 3개-D0, D1, D2라는 메모리상에 저장된 데이터를 M30부터 4자리씩 단위를 잡아서 저장을 하겠다는 의미가 됩니다. 간단하게 표현하자면, D0부터 D2에 저장된 값을 M30번지 부터 PLC의 디바이스에 저장을 하겠다는 명령어 입니다. 실제로 D0와 D1에 8이라는 값이 저장되어 있었기 때문에, 4비트의 2진수로 표현하면.. 2017. 12. 23.
미쯔비시 PLC를 이용한 메모라 번지수와 데이터의 전송 part1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크리스마스가 오기전인 이번수 화요일에 있었던 수업의 내용을 한번의 포스팅에 다 올리고자 했습니다만, 그게 만만치 않은 내용이 많아서 하는 수 없이 2부분으로 나누어야만 했습니다. 일단 수업의 절반에 해당하는 내용을 포스팅 하도록 해 보겠습니다. 먼저 적산 타운터를 사용하기 위한 사전 작업을 진행 하도록 합니다. 우선 디바이스 합계는 29K라는 단위를 만족해야 하기 때문에 데이터 레지스터라는 것을 12K에서 11K로 줄이도록 하고, 적산 타이머가 원래는 0K였는데, 이것을 1K로 올리도록 합니다. 여기서 1K라는 것은 듣기로는 1024개의 디바이스를 사용 할 수 있는 단위라고 합니다. 첫번째 과제입니다. 자동생산 버튼(M0)를 누르면 3초에 1개씩 생산되는 물건을 7회 생산시.. 2017. 12. 22.
LS산전 PLC를 가지고서 했는 몇가지 과제 실습과, 실제 연결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야 이번주에 있었는 수업의 내용을 포스팅에 들어가는데, 아무튼 간에 이래저래 지독한 감기에 걸려서 포스팅을 하기도 쉽지가 않네요. 아무튼 힘을 내서 어떻게 해서든 포스팅을 이어 나가고자 합니다. CTU라고 해서 이건 업 카운트인데, 전류가 들어올 때마다 1씩 증가를 해서 지정된 횟수를 넘어가면 카운터의 접점이 ON이 되는 카운터입니다. 처음에는 TON으로 잠시 착각을 하기도 했는데, 같은 게 아니라는 것을 유의해야 합니다. 그리고 이 업 카운트 (CTU)의 경우에는 Shift + F4를 이용한 리셋을 반드시 연결해 주어야만 초기화가 되는 특징이 있습니다. 다음은 다운 카운트(CTD)라고 해서 펄스 신호가 들어올 때마다 1씩 감소가 되어서 0이 될때 카운터 접점이 ON이 되는 카.. 2017. 12. 21.
사람을 무는 개에 대한 말말말 안녕하세요? 예전에 서울의 유명한 한식당 대표가 개에게 물리는 바람에 사망한 사건도 있었는데, 과학동아 20178년 12월호 기사를 보니, 이런 문제는 한국만이 아니라 미국에서도 문제라고 합니다. 미국의 동물행동의학과에 오게 된 개들은 거의 사람을 물어서 '안락사'되기 직전이라고 해야 할 정도로 상황이 심각 하다고 합니다. 그런데 기사를 읽어보니 한가지 의아한 것이, 개가 사람을 물어 버리는 대부분의 이유는 '두려움'이라고 합니다. 언뜻보면 이해가 가지 않을 수도 있지만, 두려운 상대-주로 인간이 다가오면 가장 많이 하는 행동이 '으르렁 거림'이라고 합니다. 이걸 사람의 언어로 표현하면 '무서우니 다가오지 마세요. 멀리 가세요.' 라는 의미가 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이러고도 사람이 가까이 오면 문제가 된.. 2017. 12.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