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590 아두이노 보드를 이용한 여러 과제해결과, 스텝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연습 안녕하세요? 어떻게 하다보니 이 블로그에 정리하는 것이 늦어져서, 이제서야 아두이노를 가지고 했던 수업의 내용을 올립니다. 이번 시간에는 특별한 것은 없었고, 대신 지금까지 배웠는 것을 여러가지 응용하면서 과제를 풀었고, 마지막에는 다음 수업시간에 다루게 될 스텝모터의 제어를 위한 연습단계에 들어가게 되었습니다. 먼저 첫 과제입니다. 버튼 스위치 한개를 두고서, 초기값은 0으로 두고서, 버튼을 누를 때마다 1씩 증가하다가 0~9까지 나오게 하고, 연결된 FND에서는 해당하는 숫자가 표시되도록 하는 것입니다. 힌트로는 아두이노 우노 보드의 7~13번 핀이 각각 FND의 a~g에 해당이 된다고 하는 것입니다. 1차 시도는 실패였는 것이 채터링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였습니다. 해결책은 위 그림처럼 따로 설정된 .. 2018. 2. 13. 처음으로 완성해본 미쯔비시PLC를 사용한 준프로젝트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주 금요일에서 부터 오늘까지, 준 프로젝트라고 해서, 프로젝트보다는 쉽지만, 그래도 정답을 가르쳐 주지 않고, 스스로 작동이 되도록 하는 작업을 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의 내용이 이 준 프로젝트를 어떻게 하였는지에 대해서 정말 간단하게 올리고자 합니다. 먼저 CiMonD에서 작화를 하였습니다. 이번 프로젝트에서 상정하는 것은 공조기 모니터링 시스템이라고 해서, 건물의 환기 및 온도 유지에 관계가 되는 시스템입니다. 일단 저는 이 공조기 자체에 대해서는 잘 모르지만, 일단 이 시스템이 자동운전일 경우에는 뎀퍼의 갯수에 따라서 0개가 동작하면 공조기의 팬은 작동하지 않아야 하고, 1개면 20Hz, 2개면 40Hz, 3개면 60Hz로 팬이 돌아야 합니다. 그리고 나서 .. 2018. 2. 12. 망할 때 깨닫는 것들 안녕하세요? 항상 과학서적만을 읽지는 않고 이렇게 다른 분야의 책을 읽기도 하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번 쯤 읽어볼 가치가 있다는 생각이 들어서 아래와 같은 책을 소개 하고자 합니다. 무언가 불편해 보이는 제목이기도 하지만, 이 책의 진정한 가치는 사업이 잘 되다가 빚 투성이가 되고, 이후 엄청나게 말로 표현하기 힘든 대우를 당해본 저자가 지어서 어떤 의미로는 '살벌'하기 까지 합니다. 하지만 진짜로 망해본 사람이 적은 만큼, 정말 주의깊게 들어야 하는 충고도 상당히 많은 편이기는 합니다. 일단 가장 먼저 나오는 충고는 '실패'라는 것이 최종 패착인 빚더미에 앉고 길거리에 나 앉는 것만이 아니라, 사소한 실수들도 모두 실패인데, 이걸 하나하나 고쳐나가지 않으면 최종 패착에 이른다고 합니다. 그리고 창업.. 2018. 2. 11. Easy View라는 HMI기기와 미쯔비시 PLC를 연결하고 수행한 과제 안녕하세요? PLC자동제어 과정에 들어간 것도 상당한 시간이 흐른 것 같은데 ,아무튼 이제 드디어 미쯔비시 PLC인 Q-series에 HMI인 easy view라는 터치 스크린 기기를 서로 통신 시켜서 PLC에 연결이 되어 있는 220V에서 작동을 하는 AC 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 실습을 해본 내용을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 먼저 HMI와 미쯔비시PLC와의 통신을 나타낸 것입니다. 제 경우에는 외에서 나와 있는 것과는 다른 시리얼 모듈을 사용했습니다만, 이런 형태의 모듈이 되면 결선을 일일히 해야 한다고 합니다. 이제 EB8000에서 어떤 다비읏 속성에 접속하는 지를 설정해야 하는데, 제 경우에는 미쯔비시PLC의 시리얼 통신 모듈이기에 위 스크린샷에 나와 있는 것처럼 AJ71을 선택하도록 합니다. EB.. 2018. 2. 10. 이전 1 ··· 762 763 764 765 766 767 768 ··· 8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