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592 메모리 누수를 파악하기 위한 작업-2-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번 시간에 이어서 한번 tracemalloc을 사용, 메모리가 어디서 계속해서 누적이 되는지를 살펴 보고자 했으며, 그 결과를 이번 포스팅에 올려 보고자 합니다. 일단 먼저 해야 하는 일은 다른 것 없이 파워포인트에 이 결과를 적어서 한번 정리해 보는 것 입니다. 일단 각각의 비교 포인트를 적어서 ppt에 옮겨 보도록 합니다. 최대한 알아보기 쉽도록 만들어 준 것은 좋은데, 문제는 이러고도 여전히 알아보기 힘들다는 것 입니다. 문제는 1시간씩 작업을 시킨 것은 좋았는데, 정작 작업을 하고나서 보니, 지난번에 메모리 누수를 파악하고자 나름대로 설치한 pympler가 가장 많이 메모리를 먹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특별한 것이 parent_pytrader3.py에.. 2019. 6. 30. 메모리 누수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작업 안녕하세요? 일단 6월 27일 목요일의 모의투자가 메모리 문제를 잡는다고 아무런 성과도 없이 끝났지만, 그래도 일단 계속해서 시도를 하기는 해야 하기 때문에, 일단 한번 계속해서 작업을 이어 나가도록 합니다. 이번에는 tracemalloc이라는 파이썬의 내장 모듈을 활용해서, 어디서 메모리를 계속 잡아먹는지, 정확히는 계속 커지는 지를 테스트 해 보려고 합니다.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위 스크린샷처럼 일단 import시키는 과정이 먼저 있습니다. 가장 윗줄에서 한번 import해 오도록 시도를 해 봅니다. 그리고 나서 위 스크린샷처럼 첫 메소드가 시작하기도 전에 한번 tracemalloc을 start() 시키도록 하는 것을 잊으면 안된다는 것 입니다. 다음으로는 위 스크린샷처럼 처음 시작하자 마자 po.. 2019. 6. 29. 2019년 6월 27일 모의투자와 메모리 최적 프로램의 사용 안녕하세요? 어떻게 메모리 문제를 해결하지도 못하고 해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아침이 된 김에 3번째 계획으로 이전에 다운로드를 받아 둔 MemoryFree라는 프로그램이 있었습니다. 이 프로그램이 오래 실행이 되면 메모리를 잡아 먹는 문제가 생기게 되는데,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 메모리 최적화 프로그램을 사용해서 어떤 결과가 나오는 지 살펴 보고자 합니다. 먼저 파이참을 실행한 다음, 막 알고리즘 투자자를 돌리기 바로 직전의 모습입니다. 이렇게 하고 나서 이제 다음으로 메모리 최적화 프로그램을 실행 시키고자 합니다. 제가 이번에 사용할 프로그램은 FreeMmr이라는 것인데, 일단 처음에는 30분 간격으로 했지만, 최적화를 하기도 전에 윈도우가 프리징이 되어 버렸기 때문에, 하는 수 없이 1분 단위.. 2019. 6. 29. Vim을 이용한 시도와 좌절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어떻게 cm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을 시켰지만, 그렇게 하고서도 문제가 해결이 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개발툴 중에서 메모리를 적게 소모한다고 알려진 Vim이라는 것을 이용해서 한번 시도해 보자고 합니다. 일단 먼저 해야 할일은 Vim의 홈페이지로 찾아가는 것일 겁니다. 먼저 Vim이 일단 진짜로 있는 것인지 한번 확인해 보니까, 실제로 있는 것은 맞기는 맞습니다. 그리고 나서 홈페이지로 가서, 위 스크린샷처럼 MS-Windows에 맞도록 하는 것이 있으므로, 한번 찾아가서 다운로드를 받도록 합니다. 그리고 다운로드 받은 설치 파일을 실행시켜서 인스톨 시키는 과정이 있습니다. 이 과정은 정말 쉽게 진행이 되었고, 그 속도도 상당히 빨랐습니다... 2019. 6. 29. 이전 1 ··· 588 589 590 591 592 593 594 ··· 89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