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86

kiwoom.py에 있었던 변경사항 -2-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다 끝나지 않은 제가 만든 kiwoom.py의 변경된 사항을 알려드리고자 이 포스팅을 기존의 카테고리가 아닌 지식정리 창고에 올리는 이유가 되기도 했습니다. 앞으로도 한개의 포스팅이 더 올라가야 할 정도로 양이 만만치 않게 많아서 이렇게 되었는데, 아무튼 추가로 그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그리고 나서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3개의 메서드도 더 추가를 했습니다. 물론 이 메서드들이 다 작동을 한다고는 생각할 수는 없지만, 일단 제가 kiwoom.py에 추가를 했는 메서드입니다. 그리고 나서 나중에 kiwoom.py자체에 에러가 있다고 알려져서 제가 정보를 찾아가며넛 추가한 메서드입니다. 이 메서드가 아마 포멧을 변형시킬때 사용한 것인데, 지금은 잘 생각이 나지.. 2020. 2. 26.
확률분포의 균일분포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다른게 아니라 오랫만에 통계학 도감이라는 책을 보고서 포스팅할 만한 분량을 겨우 확보했기에 한번 그 내용을 포스팅 해 보고자 합니다. 여기서 먼저 언급해야 하는 것은 확률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예를 들어서 주사위를 던지면 일반적으로 6개의 눈중에 하나가 나오는데, 만약 주사위를 던져서 1의 눈이 나왔다면 이 나왔는 1이라는 눈이 '사상'이라고 하는 실험이나 관측등에 행위에 의한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럼 확률이 무엇이냐 하면, 바로 이 사상이 일어나기 얼마나 쉬운지를 수치화한 것 입니다. 그리고 지난번 포스티에서 다루었는 변수라는 개념에서 실행해 봐야만 비로서 결과를 알 수 있는 이 변수를 '확률변수'라고 합니다. 대표적으로 룰렛을 돌리게 되는데, 룰렛을 실제로 돌리.. 2020. 2. 25.
멀티 프로세스를 이용한 병렬처리에 들어가 보기 -3- 안녕하세요? 일단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런데로 결론이 나오기는 나왔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그렇게 좋은 결론이 나오지 않았다는 것이 문제인데, 아무튼 간에 그 결론이 나오는 과정을 그런데로 이번 포스팅에서 보여 드리고자 합니다. 도저히 답이 없기는 없어서 이번에는 기존의 py파일의 3번째 복사본을 만들어 주도록 합니다. 일렇게 해서 아예 새로운 시도를 한번 해 보고자 합니다. 이번에는 아예 multiprocessing이라고 하는 파이썬의 내장 모듈을 그대로 사용하는 것으로 방향을 한번 선회해 보도록 합니다. 그런데 픽클이라고 하는 pickle이라고 하는 문제가 나오기는 나왔습니다. 이 문제가 왜 나왔느냐 하면, pyqt5를 사용하는 한 이 문제는 피해갈 수 없다고 합니다. 그래서 다시 2번째 복사본으로 돌아.. 2020. 2. 25.
kiwoom.py에 있었던 변경사항 -1- 안녕하세요? 이 블로그에서 최근에 댓글 주시는 분도 많고, 따라 하시려는 분도 많은데, 아마 많은 분들이 여러움이 많으시리라 생각이 됩니다. 저야 최근까지 그 이유를 몰랐는데, 일단 kiwoom.py를 기존에 [파이썬으로 배우는 알고리즘 트레이딩]이라는 책에서 나오는 kiwoom.py에 비해서 엄청나게 많은 부분이 달라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 바뀐 부분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를 해야 하는데, 하고 보니 너무나 많은 부분이 달라져서 한번의 포스팅으로는 다 보여드릴 수가 없어서 몇 번의 포스팅으로 나누어야 했습니다. 일단 기본적은 kiwoom.py의 코드는 여기서 가지고 왔습니다. 먼저 시작부터 엄청나게 달라진 부분이 있습니다. 일단 datetime이라는 것을 추가했고, QThread라는 것.. 2020. 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