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87

다시한번 들어가는 데이터 분석-4- 안녕하세요? 결국 지난번 포스팅을 통해서도 어디서 이런 차이를 만드는 지를 알 수 없었습니다만, 그래도 다음 단계를 확인하기 위해서 일단 이번 포스팅의 내용을 올려 보고자 합니다. 여기서는 다른게 아니라 Top 10이 있으면 반대로 bottom 10이라고 해야 할까요? 수익이 아니라 손해를 본 10개 종목에 대해서 한번 알아 보고자 합니다. 먼저 위 스크린샷을 보시면 알 수 있듯이 일단 bottom 10을 한번 작업해 두도록 했습니다. 그렇게 해서 일단 total profit이 -가 된 종목들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다음으로 한번 작업을 들어가 보기 위해서, 일단 저 마이너스가 난 total profit을 한번 범위로 해서 통계학적 처리를 해 보고자 합니다. 일단 F 검정을 한 결과를 보면,.. 2020. 6. 7.
다시한번 들어가는 데이터 분석-3-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도 어디서 어떤 요소가 있기에 변동 Account Risk가 고정 Account Risk보다 더 많은 수익을 내는지에 대해서는 알 지 못했습니다. 그래서 하는 수 없이 이번 포스팅에서 이어서 가지가지 수치들을 분석해서 한번 작업을 해 보고자 합니다. 먼저 알아보기 위해서 우선은 Risk Reward Ratio라고해서 1원을 넣을 경우 얼마나 많은 돈을 얻을 수 있는지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기 위한 수치를 가지고서 통계학적인 처리를 하고자 합니다. 그리고 나서 다음으로 할 수 있는 것으로는 위 스크린샷을 보시면 알 수 있듯이 어떻게 F 검정을 하니까, 0.05인 유의수준보다 작아서 등분산이 성립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나서 T 검정을 한번 받아보고자 합니다. .. 2020. 6. 7.
다시한번 들어가는 데이터 분석-2-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번 포스팅에 이어서 RSI지수를 기반으로 한 가장 널널한 조건에서 어떤 차이가 변동 account risk와 고정 account risk의 차이를 만들었는지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고자 합니다. 먼저 차이가 나올 것으로 생각이 되는 평균 수익에 대해서 한번 알아 보고자 합니다. 일단 여기서 우선 범위를 지정했으니, 이제 F 검정 부터 먼저 들어가 보아야 합니다. 먼저 F검정 결과를 보면 조금은 아슬아슬하게 유의수준인 0.05를 넘어갔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러해서 이제 등분산이 성립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나서 T검정을 한번 해 보니까, 어떻게 된 것인지는 모르겠습나다만, 일단 둘의 유의차가 있어 보입에도 불구하고 없다는 결과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었습.. 2020. 6. 7.
다시한번 들어가는 데이터 분석-1- 안녕하세요? 어떻게 손절매에 대한 버그가 있어서 이에 대해서 한번 작업을 다시 해야 했었고, 이제 테스트를 다시 진행해서 어떤 차이가 다시 나오는 지에 대해서 한번 생각해 보고자 합니다. 일단 어떻게 이래저래 원인을 찾는다고 많은 작업을 해서 인지 모르겠습니다만, 아무튼 간에 데이터가 많이 불어서 한동안 이 시리즈로 포스팅이 자주 올라올듯 합니다. 먼저 위 스크린샷과 같은 것처럼 각각의 결과가 모두 각각의 테스트 결과 폴더에 엑셀파일로 저장이 되어 있는데, 이걸 복사해서 이동하기를 해서 결과를 한개로 정리하고자 하는 엑셀 파일로 복사본만들기로 옮겨 줍니다. 그리고 나서 다음으로 해야 하는 작업은 역시나 최종 결과물인 계좌가 큰 순서대로 해서 이 결과들을 한번 내림차순으로 정렬해 보는 것 입니다. 그리고 .. 2020. 6.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