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87

ray를 사용한 우회로를 개척해 보기 -3-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도 지난번에 이어서 계속해서 어어지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시도를 하였고, 그 결과에 대해서 한번 올려 보고자 합니다. 일단 계속해서 데스크톱에서는 작업이 일어나고 있기는 있습니다만, 이 실험은 잘 안되고 있기는 합니다. 일단 위 스크린샷과 같은 정보를 얻었는데, 이건 stack overflow에서 찾은 것이고, 이게 100% 해결책이 된다는 보장이 없기는 없습니다. 그래도 일단 시도를 하기는 합니다. 일단 위 스크린샷처럼 자식 프로세스가 되는 py파일에다가 이렇게 삽입해 주어서, 작동을 어떻게 해 주리라고 기대를 해 보고 있습니다. 그러도고 해결이 안 되어서, 하는 수 없이, 위 스크린샷처럼 일단, 타이머를 그냥 끄고, 아예 새로운 방식으로 작업을 하고자 바꾸었습니다.. 2020. 7. 25.
ray를 사용한 우회로를 개척해 보기 -2-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어떻게 무언가를 시도하기는 했습니다만, 문제는 ray.init()를 한번만 해야 한다는 룰 때문에 무언가가 잘 안되기는 안 되었습니다. 일단 이 문제를 어떻게 해서든 우회해서라도 무언가를 하기 위해서, 가지가지 시도를 해 보는 것이 이 일련의 시리즈에서 일어나는 과정입니다. 그래서 일단 처음에는 부모 프로세스에서 ray.init()를 지정해 주고자 했습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상황이 조금은 더 나아지리라 생각을 하기는 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ray.init()를 하지 않았는 식으로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일단 이런 문제로 인해서 이걸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는데, 어쨎든 해결을 하기 위해서, 이번에는 몇번째인지 모를 부모 프로세스의 py파일을 만들어서 한번 .. 2020. 7. 25.
ray를 사용한 우회로를 개척해 보기 -1- 안녕하세요? 일단 지금 12시간씩 걸리는 방식으로 메인이 되는 데스크톱에서는 데이터를 계산하고 있는 중이고, 이런 와중에 한번 파이썬에서 ray를 사용하는 방식이 잘못 사용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 이걸 일단 한개의 multiprocess든 이렇게 만든 다음에, 여기서 주식 종목별로 계산을 하나하나 나누어서 하는 것으로 하나의 프로세스를 처리해 보고자 합니다. 이 작업을 하기 위해서, 일단 위 스크린샷처럼 자식 프로세스로 사용이 되는 child process의 py파일을 3번째로 만들어 주도록 합니다. 그리고 나서 다음으로 일단 인스턴스화를 시키는 py파일을 2에서 3으로 변경을 시켜 주도록 해서, 새로운 시도를 한번 해 보도록 합니다. 일단 init에서 ray를 시작하라는 명령을 일단.. 2020. 7. 25.
우연히 발견한 구름IDE만의 특이한 사항(?) done 안녕하세요? 어찌어찌 해서 이렇게 까지 구름 IDE만의 이 실행시간 측정에 나오는 오차에 대해서 그런대로 결론을 내리고 나서는 다음 작업을 하고자 합니다. 일단 이번 포스팅에서는 확실하게 알아낸 것이 하나 있는데, 바로 새로 컨테이너를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 실행시간을 먹는다는 것 입니다. 확실하게 증거로 제시하기 위해서, 일단 구름 IDE에서 임대한 공간이라고 해야 할까요? 아무튼 이 일정한 서버의 공간인 컨테이너를 다시 실행시키는 중 입니다. 그리고 나서 결과를 저장하기 위해서, 기존에 있던 폴더 대신에 새로운 폴더를 하나 더 만들어 보아서, 한번 작업에 이용해 보도록 하는 것 입니다. 그리고 나서 이제 같은 데이터 베이스에 같은 종목, 종목 갯수를 가지고서 한번 작업을 한 결과를 보았더니, 이번에도 .. 2020. 7.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