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585

유니티5독학하기 그4번째 걸음-한번 포스팅에 1개 챕터를 끝내기는 무리인가 봅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교적 그래픽작업에 가까운 작업을 시작한다고 해야 할까요? 아무튼 이런 작업을 다루고 있는 것이 [실전! 유니티5로 소셜 네트워크 게임 만들기]라는 책의 챕터4 였습니다. 이 챕터를 한번의 포스팅에 다 담아서 끝내고 싶기는 했지만, 그러기에는 내용이 너무 길어져서 최소 2개의 포스팅으로 나누어야 했습니다. 먼저 새로운 프로젝트를 생성하도록 합니다. 위 스크린샷에서 보이는 것 처럼 2D로 게임을 만드는 작업을 쉽게 하기 위해서 2D에다가 체크를 하도록 합니다. 이럴 경우 이전에 Test프로젝트에선느 3D가 기본으로 되어 있었지만, 여기서는 2D가 기본으로 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위 스크린샷에서 Projact윈도우에서 Create항목을 눌러서, Images라는 폴더를.. 2017. 5. 24.
유티니5독학하기 그3번째 걸음-조금씩 난관이 보이기 시작합니다. 안녕하세요? 미리 말을 한다는 것을 잊어버리고서 이야기를 안 했는데, 독학을 한다고 해서 그냥 아무 문서나 막 보고 하는 것이 아니라, 서적을 구매해서 그 책을 보면서 독학을 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유니티5의 독학에 쓰인 책은 [실전! 유니티5로 소셜 네트워크 게임 만들기]라는 책을 집어서 맨땅에 헤딩을 하는 심정으로 하고 있습니다. 먼저 이전에 제작을 하였는 Test.cs라는 스크립트를 다음과 같이 수정을 가합니다. 이렇게 수정을 가한 이유는 바로 이전에는 10+10의 값으로 20만이 출력되었는데, 이번에는 30+30의 값으로 총 60의 결과값을 얻고자 하는 것이였습니다. 하지만 결과는 제 기대와는 다르게 여전히 20만이 출력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하는 수 없이 아래와 같이 추가적인 코딩을 하였습니다.. 2017. 5. 23.
유니티5 독학하기 그 2번째 걸음-아직까지는 순조롭습니다. 안녕하세요? 게임엔진인 유니티5의 독학을 지난번 포스팅에서 시작하였으며, 이번 포스팅에서 독학하기 2번째 걸음을 옮기고자 합니다. 우선 첫번째 작업으로 지난번 작성한 test라는 c# 스크립트를 열어서 확인해 보았습니다. 이 스크립트를 드래그해서 Game object에 옮겨 놓는 것으로 제대로 장착시키기(?)를 하도록 하고 이제는 게임 오브젝트에 다른 컴포넌트를 추가하는 작업을 하도록 해보겠습니다. 유니티 화면의 상단에 있는 Inspector화면에서 add component라는 버튼을 누르면 위 스크린샷과 같은 화면이 뜹니다. 여기서 저는 Effects를 선택한 다음에, 하위 항목에 있던 particle을 선택하였습니다. 유니티5의 화면에 있었는 Scene화면에서는 위 스크린샷과 같이 입자들이 퍼지는 것.. 2017. 5. 22.
텔로미어에 관한 간략한 설명 안녕하세요? 사실은 과학동아 2017년 5월호에 있던 [인간은 왜 늙는가?]라는 기사를 읽고서 재미있는 이론을 하나 소개하려고 했습니다만, 그전에 텔로미어에 대해서 설명을 하려니 너무 길어져서 따로 포스팅 하나를 할애해서 설명을 하고자 합니다. 가장 간단하게 설명을 하자면 아래의 그림과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염색체의 가장 끝 가장자리 부분이며, 이 부분은 DNA가 복제가 될때, 그러니까 세포가 분열을 할 때 마다 염색체의 끝 부분이 마치 신발의 밑창처럼 딿아서 없어지는 것 처럼, 점점 시간이 지날수록 짧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렇게 짧아지는 이유는 아래의 그림과 같은 기작을 통해서 이루어 진다고 합니다. 먼저 DNA는 복제를 하기 위해서 안정적인 구조를 이루고 있는 이중나선을 풀고, 5`에서 3`라.. 2017. 5.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