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3586 2019년 7월 첫째주 평균회귀 테스트 결과 안녕하세요? 일단 이 포스팅의 소재인 스크린샷이 찍혔을 무렵이 주말이어서, 좀 늦기는 했지만, 아무튼 간에 일단 평균회귀 테스트를 진행하였고, 어떤 어떤 종목들을 선정해서, 다시 시작하는 모의투자에 들어가는 지를 설명해야 하기 때문에, 이번 포스팅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먼저 위 스크린샷처럼 일단 1주일 더 날짜를 당겨서 설정을 해 주도록 합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너무 많은 데이터가 들어가지 않도록 합니다. 그리고 나서는 위 스크린샷처럼 파이참에서 실행을 시키도록 합니다. 일단 여기까지는 어떻게 많은 양의 메모리를 잡아먹지 않기 때문에 가능한 일 입니다. 그런데 하다보니 중간에 divide by zero라고 해서, 0으로 나누어 지는 에러가 있다고 합니다. 이 에러는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 난감하다는 생각.. 2019. 7. 3. cmd상에서 제대로 python을 실행시키기 위한 도전-3-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지난번 시간에 원인을 알 수 없는 에러가 발생한 것을 볼 수 있었는데, 일단 이 에러는 뒤로 미루어 주더라도, 우선은 제대로 실행을 시키는 것에 더 집중을 한다고 했습니다. 물론 이 에러는 나중에 나오는 모의투자에서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이 됩니다. 혹시나 숫자 0이 나와서 에러가 나온 것이 아닌가 해서, 한번 구매가격을 1로 지정을 하도록 해 보았습니다. 일단 주식이 1주에 1원이 될 수 있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일단 이렇게 설정을 해 주도록 했습니다. 그런데 이번에는 위 스크린샷처럼 유니코드 에러가 뜨면서 제대로 나오지 않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아무대로 파이참과 명령 프롬프트에서 지원하는 유니코드가 달라서 이런 에러가 생기는 모양입니다. 그래서 한번 제대로 명령프롬.. 2019. 7. 3. cmd상에서 제대로 python을 실행시키기 위한 도전-2-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우연히 이게 경로나 관리자 권한만이 아니라, 유니코드의 문제로 인해서 각각의 자식 프로세스들이 작동이 안 된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에러를 해결하고자 한바탕 시행착오를 거쳤으며, 그 내용에 대해서 한번 포스팅을 해 보고자 합니다. 먼저 decode란에다가 원래는 기본적으로 UTF-8이라는 유니코드를 쓰지만, cmd-명령프롬프트에서 실행을 하기 위해서는 위 스크린샷과 같이 EUC-KR을 입력해 주도록 합니다. 그리고 나서 한번 cmd상에서 실행을 시키자 ,이번에는 제대로 유니코드의 에러가 안 뜨면서 실행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는 완전하게 action_list.txt가 생성이 되는 것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렇게 하는 것으로 .. 2019. 7. 2. cmd상에서 제대로 python을 실행시키기 위한 도전 안녕하세요? 한참동안 여러가지 시도를 한다고 이래저래 헤메었습니다만, 그래도 어떻게 모의투자까지는 허접하기는 해도 한번도 메모리 부족으로 윈도우가 다시 시작하지 않고서도 어떻게 움직이게 하는 데는 성공하였습니다. 그래서 먼저 첫번째 발자국으로 메모리 부족을 피하기 위한 cmd상에서 python을 제대로 실행시키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어 보고자 합니다. 먼저 위 스크린샷처럼 dirname으로 되어 있어서 action_list.txt가 생성이 되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을 처음에는 하였습니다. 그래서 이걸 바꾸어 주도록 합니다. 위 스크린샷처럼 transModelPath에 action_list가 생성이 되도록 만들어 주도록 한 것은 좋았습니다만. 이것도 한가지 문제가 있었으니........... 2019. 7. 2. 이전 1 ··· 584 585 586 587 588 589 590 ··· 89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