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587

40period에서 나온 VR과 MFI결과의 분석-3-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까지는 어떻게 40 period에서 나온 결과를 각각의 데이터 베이스 별로 따로따로 보았습니다. 이제 데이터 베이스가 달라지면 어떻게 결과가 달라지는 것인지 한번 알아보기 위한 작업을 할 필요성이 있기는 있었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에서는 다소나마 관련된 내용을 다루고자 합니다. 이 작업을 하기 위해서 먼저 해야 하는 일로는, 테이블로 일련의 데이터를 정리하는 일이 먼저 선행이 되어야만 합니다. 이렇게 테이블로 각각의 데이터 베이스 별로 있는 데이터를 한 군데로 모으도록 합니다. 806개 종목 전체의 평균수익을 비교하는 것 보다 이익이 난 종목과 손해가 난 종목만 모아서 평균을 비교해 보고자 했습니다. 일단 여기서 나오는 양을 보면, 10분봉일 때가 그나마 손해보다 이익을 평균.. 2020. 5. 6.
40period에서 나온 VR과 MFI결과의 분석-2-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VR지수를 계산해서 10분봉 캔들챠트를 사용한 경우에 한해서 한번 포스팅을 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어서 30분봉 캔들챠트를 사용한 경우와 60분봉 캔들챠트를 사용한 경우를 한번 분석해서 그 결과를 포스팅 해 보고자 합니다. 언제나 해야 하는 작업이지만, 소개를 하기는 해야 하는 작업으로 위 스크린샷에서 보이는 것처럼 일단 테이블을 만들어서 한개의 작업으로 정리해야 합니다. 그리고 나서 다음으로 해야 하는 것으로는 위 스크린샷에서 보이는 것처럼 일단 평균수익을 보았습니다만, 806개 종목의 모든 평균수익을 살펴 보아도 그렇게 좋은 것은 없어 보입니다. 그리고 종목의 갯수를 분류해서 한번 비교해 보면, 일단 10분봉 캔들챠트 데이터 베이스를 사용한 경우와 다르게 많은 .. 2020. 5. 6.
40period에서 나온 VR과 MFI결과의 분석-1- 안녕하세요? 드디어 어떻게 해서 VR과 MFI지수를 제대로 계산하기 시작해서, 이 값을 가지고서 한번 작업을 해 보고자 합니다. 물론 여기서 말하는 작업은 데이터 분석이라고 결과를 해석하는 작업이 되는 것인데, 어느정도는 지루한 감이 있습니다. 먼저 해 주어야 하는 일로는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일단 필요한 수치를 입력해서 각각의 결과를 엑셀의 함수를 이용해서 구하는 것 부터 시작합니다. 이렇게 해서 일단 한개의 테이블로 정리를 해 주도록 합니다. 이렇게 정리가 되기는 되었다면, 이제 남은 것은 이 값들을 기반으로 해서 그래프를 그리는 것 입니다. 먼저 평균수익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 보자면, 여기서도 지난번과 그렇게 큰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종목의 갯수를 각.. 2020. 5. 6.
머그컵의 채색에 들어가 보기 -final- 안녕하세요? 일단 이래저래 애를 먹기는 했지만, 그래도 어느새 막히던 부분에서 해결책을 찾는데 성공하기는 했기에, 그 내용을 올려 보고자 합니다. 일단 이번 포스팅에서 어떻게 관련된 내용을 다 끝내기는 끝냈는데, 여기서 하나 더 있는 부분이 또 있기 때문에, 그것까지 하고 나서, 지식정리 창고에 정리를 해야 할지 고민을 하는 중 입니다. 결국 해결책이 어디서 나왔느냐 하면,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일단 조합 RGB라고 할 수 있는 셰이더를 추가시키는 것으로 어떻게 할 수 있기는 있었습니다. 여기다가 칼라 1과 2로 연결을 해 주도록 합니다. 이렇게 했더니 2개의 색상이 섞이면서 어떻게 작업이 되기는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게 제가 의도한 것이고, 이것으로 어떻게 작업이 되기는 되.. 2020.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