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587 10% stop loss로 테스트를 한 결과 -9-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다른게 아니라 이전에 했는 것만 가지고서는 무언가 부족하다는 감이 있어서, 추가로 새로운 지표를 만들어서 한번 더 작업을 해보고자 합니다. 이번 작업에는 단순히 손해만 본 종목만이 아니라, 수익이 -인 종목과 추가로 승률이 50% 미만인 종목에 대해서 모두 카운팅을 해 보고자 합니다. 다른게 아니라, 일단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일단 수익이 결과적으로 -로 나온 종목의 갯수를 구했으며, 그리고 나서 승률이 50% 미만인 종목의 갯수에 대해서 구했습니다. 이렇게 구했는데, 무언가 제 생각과는 매치가 되지 않는 것을 구할 수 있었습니다. 그리고 나서 다음으로 봐야 하는 것으로는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RSI기반으로 만들어진 매도/매수 룰에서 일단 어떻게.. 2020. 7. 7. 10% stop loss로 테스트를 한 결과 -8-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어떻게 해서 남아 있는 Bollinger Band를 가지고서 한번 작업을 해 보고자 합니다. 이 작업을 하는 이유는 역시나 어딘가가 잘못되었고, 결과를 제대로 분석하기 위해서 이기도 합니다. 일단 남은 결과도 다 분석해 보고자 이번 포스팅을 올려보겠습니다. 먼저 그냥 간단하게 close만 가지고서 계산을 하였는 Bollinger Band를 가지고서 5%와 10%의 손절매 조건에서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 일단 확인해 보도록 합니다. 여기서도 일단 10%일때 손해보는 종목의 갯수는 줄고, 이익보는 종목의 갯수는 비약적으로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대신 10%의 조건에서는 이익을 본 종목의 이익수준이 좀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도.. 2020. 7. 7. 10% stop loss로 테스트를 한 결과 -7- 안녕하세요? 진나번 포스팅에서는 어떻게 RSI기반으로 해서 나온 결과를 가지고서 한번 비교를 해 보았습니다. 여기서는 전반적으로 상황이 10%의 손절매가 더 나아지기는 했습니다만, 문제는 수익의 질은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제 다른 매도/매수 룰에서는 어떤 조건으로 나오는지 여부를 봐야 합니다. 그리고 나서 여기서 하나 알 수 있는 것은 일단 손해는 확시랗게 이동평균선 + 표준편차 메서드에서 줄어들었고, 이익을 본 종목의 갯수는 미미하게 늘어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4배수를 표준편차에 해주는 조건부터는 그렇게 큰 볼꺼리는 없어 보입니다. 그리고 나서, 위 스크린샷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일단 이익의 질이 얼마나 좋아졌는지, 아니면 나빠졌는지 일단 알아보도록 했습니다만, 우선.. 2020. 7. 7. 10% stop loss로 테스트를 한 결과 -6- 안녕하세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어떻게 해서든 간에, 계속해서 이어지는 이 데이터의 분석에 대해서 들어가 보고자 합니다. 일단 대충은 어디서 어디까지 가야할지 감이 오기는 합니다만, 그래도 아직은 부족한 감이 많이 있기는 합니다. 그래서 더 자세하게 분석을 해서, 어디가 문제인지 더 생각을 해 보아야 합니다. 다음으로 진행을 하기 위해서는, 위 스크린샷과 같이 일단 10%의 손절매 조건에서도 제대로 결과가 어떻게 나왔는지 먼저 알아볼 필요성이 있습니다. 일단 여기서는 어떻게 여전히 손해를 본 종목의 갯수가 많기는 하지만, 이익을 본 종목의 갯수에 비해서 그 차이가 5%의 손절매 조건에 비해서 줄어든 감이 있습니다. 그리고 나서 이익의 조건이 얼마나 양질의 이익이 나왔는지 알아보는 과정을 거쳤습니다만, 여기.. 2020. 7. 7. 이전 1 ··· 408 409 410 411 412 413 414 ··· 897 다음